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전예솔 (충북대학교) 이하나 (충북대학교) 김현주 (국립식량과학원) 허희진 (충북대학교) 홍성화 (충북대학교) 김영화 (경성대학교) 이준수 (충북대학교)
저널정보
한국식품영양과학회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제53권 제8호
발행연도
2024.8
수록면
787 - 795 (9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연구에서는 마이크로웨이브 처리가 수수의 항산화, 항당뇨 및 항고혈압 활성의 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총 폴리페놀 함량에서 LL 처리 시 123.48 GAE mg/g residue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이는 처리하지 않은 수수와 비교하여 80.34% 증가한 수치다. 또한 DPPH 라디칼 소거능에서 LL 처리 시 192.03 TE mg/g residue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총 폴리페놀 함량과 같은 경향을 보였다. α-Glucosidase 저해 활성 측정 시 LL처리에서 38.31%의 억제 활성을 보였으며 이는 Raw 대비 298.48% 증가한 수치였다. HepG2 세포에서 마이크로웨이브 처리 수수의 포도당 흡수율을 측정한 결과 수수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 대비 포도당 흡수율이 24.05~47.39% 수준까지 증가하였다. ACE 저해 활성 측정 시 LL 처리에서 58.75%의 높은 저해율을 보였으며 ML, HL 처리가 각각 55.85%, 54.42%로 뒤를 이었다. H₂O₂로 유도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해 혈관내피세포에서 보호 효과를 측정하였으며 수수의 마이크로웨이브 처리 시 높은 세포 보호 효과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수수에 마이크로웨이브를 장시간 처리시 항산화, 항당뇨 및 항고혈압 활성이 증가하여 열처리 시에도 활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가공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마이크로웨이브 처리 시 생리활성성분의 함량 변화와 생체이용률을 비교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목차

ABSTRACT
서론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요약
REFERENCES

참고문헌 (55)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151-24-02-0906457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