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년 월 일부터 년 월 일까지 1986 1 1 2006 12 31 한국증권선물거래소의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기업을 대상으로 배당정책의 결정요인과 조정속도에 관하여 실증분석 하였으며, 주요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잔여배당이론, 배당신호이론, 대리인이론, 케이터링 이론 및 거래비용이론에 관한 대용변수들은 우리나라 상장기업의 배당결정을 유의하게 설명한다. 배당결정변수 중에서, 수익성 비율과 배당프리미엄은 배당결정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고, 자본지출 비율, 레버리지 비율, 경영위험 및 거래량회전율은 유의한 음(-)의 영향을 미친다. 기업들은 목표 배당성향을 가지고 있으며, 실제 배당성향이 목표 배당성향에서 이탈하면 다시 배당지급을 부분적으로 조정한다. Lintner(1956)의 배당조정모형을 적용하면, 목표 배당성향과 배당조정속도는 각각 0.122와 0.499로 측정된다. 따라서 기업들은 목표 배당성향과 실제 배당성향간의 갭을 매년 49.9% 내외로 조정하며, 완전히 조정하는데 약 2년 정도 소요된다. 잔여배당이론과 그 이후에 등장한 배당신호이론, 대리인이론, 케이터링 이론 및 거래비용이론에 관한 대용변수들을 모두 고려하여 Lintner(1956)의 배당조정모형을 확장하면, 목표 배당성향은 0.122에서 0.151로 증가하고, 배당조정속도는 0.499에서 0.509로 조금 증가한다. 이러한 결과는 Lintner(1956)의 배당조정모형을 사용하여 배당조정속도를 유의하게 측정할 수 있다는 강력한 증거가 된다. 달리 말해, 배당조정속도는 전기 주당배당과 당기 주당이익에 의해 주로 결정되며, 잔여배당 이론과 그 이후에 등장한 배당신호이론, 대리인이론, 케이터링 이론 및 거래비용이론에 관한 대용변수들은 배당조정속도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In this paper, we study empirically the adjustment speed and determinants of dividend policy of IPO firms listed on Korea Securities Market.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determinants suggested by the major theories of dividends, namely, residual dividend, dividend signaling, agency, catering, and transactions cost theory explain significantly the dividend policy of Korea firms. Second, Lintner's partial adjustment model of dividend policy indicates that firms have long run target payout ratio, and that firms adjust about 50% of the gap between actual and target payout ratio each year. The estimated target payout ratio and dividend adjustment speed are 0.122 and 0.499 each. Third, variables suggested by residual dividend, dividend signaling, agency, catering, and transactions cost theory explain also partially dividend adjustment speed. If variables suggested by residual dividend, dividend signaling, agency, catering, and transactions cost theory are involved in the Lintner's partial adjustment model of dividend policy, target payout ratio increase from 0.122 to 0.151, and dividend adjustment speed increase from 0.499 to 0.509. Conclusively, past DPS and current EPS suggested by the Lintner's partial adjustment model of dividend policy explain mainly dividend adjustment speed, but variables suggested by residual dividend, dividend signaling, agency, catering, and transactions cost theory explain also partially dividend adjustment speed in Korea Securities Mark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