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1. 지구시대의 도래와 이방인-이웃의 출현
2. 국경을 여러 번 건넌 존재들 혹은 지구시대의 일말의 희망
3. 반성과 모성의 시간 ; 무조건적인 환대에 이르는 두 길
4. 이방인-이웃에 대한 무조건적인 환대와 그 의미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s】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저는 웃는 걸 너무나도 좋아하는걸요”: 『오만과 편견』 속 다시 쓰는 웃음의 가치
19세기 영어권 문학
2021 .09
오늘날 이웃사랑은 어떻게 가능한가: 지젝의 이웃사랑의 윤리를 중심으로
문학과 종교
2019 .01
복음주의 성경해석학적 관점에서 본 “이웃됨”의 의미-누가복음의 ‘선한 사마리아인’ 이야기를 중심으로-
조직신학연구
2017 .06
한국과 일본 대학생의 노인편견에 관한 연구
일어일문학
2018 .11
치매이방인과 메시아적 환대
신앙과 학문
2024 .09
산업화시대 한국소설의 폭력 표상과 이웃 윤리 : 윤흥길의 〈아홉 켤레의 구두로 남은 사내〉 연작을 중심으로
현대소설연구
2016 .06
가족의 구성과 이방인의 문제 : 그리스 비극에서 시작된 갈등과 문제 해결의 시도
인문학논총
2016 .02
신경림의 후기시에 나타난 윤리적 주체와 타자로서의 ‘작은 이웃’의 관계 연구
우리문학연구
2017 .04
이방인을 환대하는 지혜
제3시대
2018 .06
환대의 윤리 관점에서 본 이주노동자 정책과 한국 교회의 과제
신학과 사회
2018 .01
‘단일민족주의’에 대한 기독교교육학적 고찰
기독교교육 논총
2015 .01
한국사회에서의 인종편견 사례와 그 특성
대동철학
2019 .01
먼 곳에서 온 사람-이방인 서사의 문학교육적 함의 - 김연수의 <모두에게 복된 새해>와 최은영의 <쇼코의 미소>, 김애란의 <그곳에 밤 여기에 노래>를 중심으로 -
문학교육학
2020 .01
포스트 세계문학과 여성-이주-장편서사의 윤리학: 황석영의 『바리데기』를 중심으로
여성문학연구
2016 .01
외국인이라는 문제, 그리고 환대 : 폴 리쾨르의 견해를 중심으로
코기토
2015 .08
1910년대 미국의 한국에 대한 인식과 3.1운동에 대한 반응
역사와실학
2021 .04
재일동포사회를 통해서 본 한국다문화사회의 비판적 고찰
일본문화학보
2016 .02
Exhaustivity of –(n)un in Korean
한국언어학회 학술대회지
2017 .06
The magnitude of articulatory gestures for the glide /w/ in Korean: Implications for the phonological representation of /w/
음성음운형태론연구
2020 .12
Exclusive Pakkey and Multidimensionality
담화·인지언어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22 .1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