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Ⅰ. 시작하는 글 - 증거법의 개관
Ⅱ. 북한 형사소송법상 증거법의 기본원칙
Ⅲ. 북한 형사소송법 증거법의 개별적 내용
Ⅳ. 맺는 글 - 북한 증거법 규정에 대한 종합적 평가
참고문헌
국문요약
Abstract
대법원 1985. 12. 10. 선고 85도2182,85감도313 판결
피고인의 자백이 심문에 참여한 검찰주사가 피의사실을 자백하면 피의사실부분은 가볍게 처리하고 보호감호의 청구를 하지 않겠다는 각서를 작성하여 주면서 자백을 유도한 것에 기인한 것이라면 위 자백은 기망에 의하여 임의로 진술한 것이 아니라고 의심할 만한 이유가 있는 때에 해당하여 형사소송법 제309조 및
자세히 보기대법원 2013. 6. 27. 선고 2013도4172 판결
자세히 보기대법원 1992. 11. 24. 선고 92도2409 판결
피고인이 검사 이전의 수사기관에서 고문 등 가혹행위로 인하여 임의성 없는 자백을 하고 그 후 검사의 조사단계에서도 임의성 없는 심리상태가 계속되어 동일한 내용의 자백을 하였다면 검사의 조사단계에서 고문 등 자백의 강요행위가 없었다고 하여도 검사 앞에서의 자백도 임의성 없는 자백이라고 볼 수밖에 없다.
자세히 보기대법원 1985. 2. 26. 선고 82도2413 판결
가. 형사소송법 제309조는 "" 피고인의 자백이 고문, 폭행, 협박, 신체구속의 부당한 장기화 또는 기망 기타의 방법으로 임의로 진술한 것이 아니라고 의심할 만한 이유가 있을 때에는 이를 유죄의 증거로 하지 못한다"" 고 규정하고 있는 바, 위 법조에서 규정된 피고인의 진술의 자유를 침해하는 위법사유는 원칙적으로 예시사유
자세히 보기대법원 1981. 10. 13. 선고 81도2160 판결
가. 피고인이 검사 이전의 수사기관의 조사과정에서 고문 등으로 임의성 없는 진술을 하고, 그 후 검사의 조사단계에서도 임의성 없는 심리상태가 계속되어 동일한 내용의 진술을 하였다면 비록 검사 앞에서 조사받을 당시는 고문 등 자백 강요를 당한 바가 없었다고 하여도 검사 앞에서의 자백은 결국 임의성 없는 진술이 될 수 밖에 없으니, 피고인이 검
자세히 보기대법원 1984. 5. 29. 선고 84도554 판결
가. 국회의원선거법 제77조가 규정하는 비방행위는 허위의 사실이든 또는 진실한 사실이든 후보자 개인이나 그 소속정당에 관한 구체적인 사실을 적시하여 비방하는 행위를 가리키며 구체성이 없는 추상적인 사실의 표현이나 평가와 같은 것은 위에서 말하는 사실의 적시에 해당하지 아니한다.
자세히 보기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독일형사소송법상 조서 등 낭독규정의 이론적 배경 및 한국형사소송법 규정과의 비교
동아법학
2015 .05
형사소송법쯤은 알아야 사는 나라
주간경향
2025 .03
형사소송법상 증거결정의 기준
홍익법학
2015 .01
형사 소송구조와 증거법칙 : 적정절차화를 위한 제안
형사정책연구
2017 .12
2021-14 수사기관 작성 조서의 증거 사용에 관한 연구: 2020년 개정 형사소송법에 따른 실무 변화 모색
[JPRI] 연구보고서
2021 .10
형사증거법상 디지털 증거의 증거능력 : 증거능력의 선결요건 및 전문법칙의 예외요건을 중심으로
형사정책연구
2015 .06
형사소송분야 회고와 전망 - 증거 및 상소를 중심으로 -
형사법연구
2017 .01
이재상의 생애와 형사소송법학
형사법연구
2019 .01
개정 형사소송법 제313조의 해석론과 공판 심리상 쟁점 - 하급심 판결과 미국법에 대한 비교법적 검토를 바탕으로 -
법조
2020 .01
형사절차에 부합하는 형사소송법 체계 개편 방안 - 구속관련 규정을 중심으로 -
중앙법학
2024 .06
영상녹화의 적극적 활용 및 증거능력 인정 필요성에 대한 검토
형사법의 신동향
2021 .01
증거재판주의와 새로운 증명 방법의 증거능력 : 재판의 정당화 관점에서 본 영상녹화물과 조사자증언의 증거능력
동아법학
2015 .02
사인(私人)이 적법절차에 따르지 아니하고 수집한 증거의 증거능력
법학연구
2015 .04
현행 디지털 증거제도의 입법화 방안 연구
치안정책연구
2020 .01
한국형사법학 60년의 회고와 전망 - 형사소송법 중 총론 및 수사를 중심으로 -
형사법연구
2017 .01
북한 형사소송법상 예심제도의 내용과 특징 : 관련 조문 축조해설과 시사점
동아법학
2016 .02
물적증거의 가치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수사절차 개혁논의와 관련하여 -
경찰법연구
2019 .01
현행 디지털 증거 수집 관련 법률의 한계
디지털포렌식연구
2017 .12
준법감시, 내부조사 그리고 형사증거법
형사정책연구
2019 .03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