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Ⅰ. 서론
Ⅱ. 형사소송절차에서 디지털 증거의 특수성
Ⅲ. 디지털 증거의 관련성 문제
Ⅳ. 사이버 활동과 전문법칙
Ⅴ. 결론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대법원 2007. 12. 13. 선고 2007도7257 판결
[1] 압수물인 디지털 저장매체로부터 출력한 문건을 증거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디지털 저장매체 원본에 저장된 내용과 출력한 문건의 동일성이 인정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디지털 저장매체 원본이 압수시부터 문건 출력시까지 변경되지 않았음이 담보되어야 한다. 특히 디지털 저장매체 원본을 대신하여 저장매체에 저장된 자료를 `하드카피’ 또는 `이미
자세히 보기대법원 1996. 10. 17. 선고 94도2865 전원합의체 판결
[1] 구 폐기물관리법(1992. 12. 8. 법률 제4539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31조 제1항, 제2항, 제2조 제8호의 규정상 폐기물을 재활용하고자 하는 자는 재활용 대상품목 및 방법을 적법하게 신고하기만 하면 되고, 그 외에 따로 일반폐기물 또는 특정폐기물 처리업자의
자세히 보기헌법재판소 2013. 10. 24. 선고 2011헌바79 전원재판부
가. 전문법칙과 관련된 형사소송법 규정들의 체계와 규정취지, 여기에 더하여 `기타’라는 문언에 의하여 형사소송법 제315조 제1호와 제2호의 문서들을 `특히 신용할 만한 정황에 의하여 작성된 문서’의 예시로 삼고 있는 이 사건 법률조항의 규정형식을 종합해 보면, 이 사건 법률조항에서 규정한 `기타 특히 신용할 만한 정황에 의하여 작성된 문서’란 형사소
자세히 보기대법원 2014. 1. 16. 선고 2013도7101 판결
수사기관이 피의자 甲의 공직선거법 위반 범행을 영장 범죄사실로 하여 발부받은 압수·수색영장의 집행 과정에서 乙, 丙 사이의 대화가 녹음된 녹음파일(이하 `녹음파일’이라 한다)을 압수하여 乙, 丙의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사실을 발견한 사안에서, 압수·수색영장에 기재된 `피의자’인 甲이 녹음파일에 의하여 의심되는 혐의사실과 무관한 이상, 수사기관이 별도의 압수·
자세히 보기대법원 2013. 6. 13. 선고 2012도16001 판결
[1] 압수물인 디지털 저장매체로부터 출력한 문건을 증거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디지털 저장매체 원본에 저장된 내용과 출력한 문건의 동일성이 인정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디지털 저장매체 원본이 압수 시부터 문건 출력 시까지 변경되지 않았음이 담보되어야 한다. 그리고 압수된 디지털 저장매체로부터 출력한 문건을 진술증거로 사용하는 경우, 그 기재 내용의 진실성
자세히 보기대법원 2001. 9. 4. 선고 2000도1743 판결
[1] 피고인의 자필로 작성된 진술서의 경우에는 서류의 작성자가 동시에 진술자이므로 진정하게 성립된 것으로 인정되어 형사소송법 제313조 단서에 의하여 그 진술이 특히 신빙할 수 있는 상태하에서 행하여진 때에는 증거능력이 있고, 이러한 특신상태는 증거능력의 요건에 해당하므로 검사가 그 존재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주장·입증하여야 하는 것이지만,
자세히 보기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형사증거법상 디지털 증거의 증거능력 : 증거능력의 선결요건 및 전문법칙의 예외요건을 중심으로
형사정책연구
2015 .06
디지털증거의 증거능력 인정요건 재고(再考)
디지털포렌식연구
2018 .06
전자(디지털)정보의 법정 증거 제출・현출 방안
비교형사법연구
2017 .01
디지털 증거의 증거능력
외법논집
2019 .01
디지털 증거의 증거능력에 관한 고찰
법이론실무연구
2016 .04
AHP 기법을 적용한 디지털 증거의 증거능력 수준 평가방법 연구
디지털포렌식연구
2020 .12
디지털 증거의 압수 · 수색절차에 대한 비판적 고찰
중앙법학
2018 .09
디지털 증거 압수·수색에 있어 관련성 판단의 기준에 관한 연구 - 수사기관의 디지털 증거 규범상 관련성 판단 기준을 중심으로 -/
법조
2022 .02
현행 디지털 증거제도의 입법화 방안 연구
치안정책연구
2020 .01
판결문 사례분석을 활용한 디지털 증거채택 결정인자 연구
치안정책연구
2023 .03
디지털 증거 수집절차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디지털포렌식연구
2015 .12
디지털 증거의 생명주기를 고려한 관리 방안
디지털포렌식연구
2016 .06
디지털 증거의 증거능력에 관한 토론문 -관련성과 전문증거에 대한 최근 판례 견해를 기반으로-
국민대학교 법학연구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15 .11
디지털증거 압수수색절차에서의 ‘관련성’의 문제
형사정책연구
2015 .06
디지털 증거 인증시스템(DAS)을 통한진정성 입증에 관한 연구
형사법의 신동향
2019 .01
디지털증거의 진정성립 증명과 증거능력 - 형사소송법 제313조 제1항의 해석과 관련한 판례의 비판적 검토 -
법조
2015 .01
압수수색에서 디지털 증거의 선별적 증거 수집을 위한 소고
입법학연구
2020 .01
새로운 디지털 증거 획득 방법에 대한 제안을 둘러싸고
비교형사법연구
2024 .01
디지털 증거의 압수수색의 합리화 방안에 관한 연구
홍익법학
2015 .01
디지털 증거의 증거능력 - 관련성과 전문증거에 대한 최근 판례 견해를 기반으로 -
국민대학교 법학연구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15 .1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