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국문요약〉
Ⅰ. 들어가기
Ⅱ. ‘가장 밀접한 관련’의 일반적 내용
Ⅲ. ‘가장 밀접한 관련’의 탐색에 있어서 공적 이익과 사적 이익
Ⅳ. 사적 이익의 구체적 내용
Ⅴ. 나가기
〈참고문헌〉
〈Abstract〉
대법원 1997. 5. 9. 선고 95다34385 판결
[1] 수입신용장 개설은행의 신용장에 따른 대금지급의무는 법률행위인 신용장상의 지급확약에 의하여 발생하는 것인바, 그 법률행위의 성립과 효력 등에 관하여는 섭외사법 제9조에 따라 당사자가 지정한 준거법에 의하며, 당사자가 명시적으로나 묵시적으로 준거법을 정하지 아니한 경우에는 같은 조의 단서를 적용하여 행위지법에 의하
자세히 보기대법원 1999. 12. 10. 선고 98다9038 판결
[1] 선하증권 이면약관 제2조가 정하는 지상약관(Clause Paramount)이 `미합중국의 1936년 해상물건운송법(The U. S. Carriage of Goods by Sea Act, 1936)`과 함께 위 이면약관상 합의로부터 파생되는 분쟁에 관하여 관할권을 가지고 재판을 할 법원의 소재국에서 `효력을 가지는(in effect
자세히 보기대법원 2011. 1. 27. 선고 2009다10249 판결
[1] 국제상업회의소(International Chamber of Commerce)의 제5차 개정 신용장통일규칙(The Uniform Customs and Practice for Documentary Credits, 1993 Revision, ICC Publication No. 500) 제9조 제a항 제iv호, 제10조 제d항, 제14조 제
자세히 보기대법원 2008. 2. 1. 선고 2006다71724 판결
자세히 보기대법원 2004. 6. 25. 선고 2002다56130,56147 판결
[1] 직업안정법 제33조 제1항에서 원칙적으로 근로자공급사업을 금지하면서 노동부장관의 허가를 얻은 자에 대하여만 이를 인정하고 있는 것은 타인의 취업에 개입하여 영리를 취하거나 임금 기타 근로자의 이익을 중간에서 착취하는 종래의 폐단을 방지하고 근로자의 자유의사와 이익을 존중하여 직업의 안정을 도모하고 국민경제의 발전에
자세히 보기대법원 2010. 7. 15. 선고 2010다18355 판결
[1] 법원이 국제재판관할권의 유무를 판단함에 있어서 당사자 간의 공평, 재판의 적정, 신속 및 경제를 기한다는 기본이념에 따라 국제재판관할을 결정하여야 하고, 구체적으로는 소송당사자들의 공평, 편의 그리고 예측가능성과 같은 개인적인 이익뿐만 아니라 재판의 적정, 신속, 효율 및 판결의 실효성 등과 같은 법원 내지 국가의 이익도 함께 고려하
자세히 보기대법원 2014. 7. 24. 선고 2013다34839 판결
[1] 국제사법 제8조 제1항, 제60조 제1호, 제2호의 내용과 취지에 비추어 보면, 선원의 임금채권을 근거로 하는 선박우선특권의 성립 여부나 선박우선특권과 선박저당권 사이의 우선순위를 정하는 준거법은 원칙적으로 선적국법이라고 할 것이나, 선박이 편의치적이 되어 있어 그 선적만이 선적국과 유일한 관련이 있을 뿐이고, 실질적인 선박 소유자나 선박 운영회사의
자세히 보기대법원 2007. 11. 15. 선고 2006다72567 판결
자세히 보기대법원 1979. 11. 13. 선고 78다1343 판결
양 당사자가 모두 내국인인 경우에 있어서 불법행위지가 단순히 우연적이고 형식적인 의미를 갖는데 그치는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섭외사법을 적용하여 처리하여야 할 합리적인 이유는 없는 것이다.
자세히 보기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중국 국제사법상 계약의 준거법 결정
법학논집
2015 .01
계약적 채무의 준거법에 관한 한국 판례의 최근 동향
국제사법연구
2016 .12
국제사법 제26조 제2항의 세 가지 유형의 계약의 준거법
통상법률
2016 .12
준거법 선택 합의의 범위와 한계
경희법학
2020 .01
국제상사계약의 준거법에 관한 헤이그원칙상 준거법으로서 법규범(rules of law) 지정
동북아법연구
2016 .01
해상법 분야의 국제사법 준거법 조항 개정을 위한 입법론적 검토
국제사법연구
2022 .06
준거법의 분열에 관한 연구
국제사법연구
2016 .12
서식의 충돌의 국제사법상 쟁점
국제사법연구
2017 .06
중재상사중재에서 분쟁의 실체의 주관적 준거법
중재연구
2023 .06
지식재산의 준거법에 관한 입법 방안
국제사법연구
2021 .06
헤이그 국제상사계약 준거법 원칙
통상법률
2015 .10
국제항공여객운송계약의 준거법에 관한 연구 - 대법원 2014. 8. 28. 선고 2013다8410 판결을 계기로 -
국제사법연구
2022 .12
불법행위와 국제재판관할합의 및 준거법 결정원리 - 대법원 2019. 4. 23. 선고 2015다60689 판결 -
한국해법학회지
2021 .11
현대 국제사법에 있어서 당사자자치의 원칙의 근거와 수용현황
법학연구
2020 .06
在日韓國人의 상속을 둘러싼 준거법 결정에 관한 諸問題 -東京地判 2016. 10. 26. 平28(ワ)5502號에 대한 비판적 연구-
국제사법연구
2019 .12
국제사법상 근로계약의 준거법
경영법률
2016 .01
당사자자치의 원칙과 불통일법국법의 지정 -유럽국제사법상의 논의와 우리나라 국제사법에의 시사점-
국제사법연구
2019 .12
중국 국제사법상 소비자계약의 준거법에 관한 연구 - 섭외민사관계법률적용법 제42조를 중심으로 -
법학연구
2022 .06
중국 국제사법상 근로계약의 준거법에 관한 연구 - 한중 근로계약 분쟁의 해결에 주는 시사점을 포함하여 -
국제거래와 법
2023 .04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