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Ⅰ. 서론
Ⅱ. 지식재산 환경의 변화
Ⅲ. 지식재산법제의 변화
Ⅳ. 지재권의 준거법에 관한 국제규범의 발전
Ⅴ. 지식재산 준거법 일반
Ⅵ. 지식재산의 귀속 및 권리의 성립의 준거법
Ⅶ. 지식재산 거래의 준거법
Ⅷ. 지식재산 침해의 준거법
Ⅸ. 결론 - 국제사법의 한계를 어떻게 돌파할 것인가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대법원 2019. 1. 31. 선고 2017다289903 판결
[1] 특허법 제2조 제3호는 발명을 `물건의 발명’, `방법의 발명’, `물건을 생산하는 방법의 발명’으로 구분하고 있다. `물건의 발명’(이하 `물건발명’이라고 한다)에 대한 특허권자 또는 특허권자로부터 허락을 받은 실시권자(이하 `특허권자 등’이라고 한다)가 우리나라에서 그 특허발명이 구현된 물건을 적법하게 양도하면, 양도된 당해
자세히 보기서울고등법원 2009. 1. 21. 선고 2007나96470 판결
자세히 보기대법원 2010. 8. 25.자 2008마1541 결정
[1] 경쟁자가 상당한 노력과 투자에 의하여 구축한 성과물을 상도덕이나 공정한 경쟁질서에 반하여 자신의 영업을 위하여 무단으로 이용함으로써 경쟁자의 노력과 투자에 편승하여 부당하게 이익을 얻고 경쟁자의 법률상 보호할 가치가 있는 이익을 침해하는 행위는 부정한 경쟁행위로서 민법상 불법행위에 해당하는바, 위와 같은 무단이용 상태가 계속되어 금전
자세히 보기대법원 2012. 5. 24. 선고 2010후3073 판결
[1] 인터넷 포털사이트 운영자로부터 특정 단어나 문구(이하 `키워드’라 한다)의 이용권을 구입하여 일반 인터넷 사용자가 단어나 문구를 검색창에 입력하면 검색결과 화면에 키워드 구입자의 홈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는 스폰서링크나 홈페이지 주소 등이 나타나는 경우에, 검색결과 화면에 나타난 표장이 자타상품의 출처표시를 위하여 사용된 것으로 볼 수 있다면 이는 상
자세히 보기대법원 2015. 1. 15. 선고 2012다4763 판결
[1] 甲 주식회사의 乙에 대한 영업방해금지청구의 선결문제로서, 乙이 甲 회사와 맺은 근로계약에 따라 완성되어 대한민국에서 등록한 특허권 및 실용신안권에 관한 직무발명에 기초하여 외국에서 등록되는 특허권 또는 실용신안권에 대하여 甲 회사가 통상실시권을 취득하는지가 문제 된 사안에서, 乙이 직무발명을 완성한 곳이 대한민국이고, 甲 회사가 직무발명에 기초하여
자세히 보기대법원 2019. 10. 17. 선고 2019다222782, 2019다222799(병합) 판결
[1] 선 특허발명과 후 발명이 이용관계에 있는 경우에는 후 발명은 선 특허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게 된다. 여기에서 두 발명이 이용관계에 있는 경우라고 함은 후 발명이 선 특허발명의 기술적 구성에 새로운 기술적 요소를 부가하는 것으로서, 후 발명이 선 특허발명의 요지를 전부 포함하고 이를 그대로 이용하되, 후 발명 내에서 선 특허발명이 발명으로
자세히 보기대법원 2009. 10. 29. 선고 2007도10735 판결
자세히 보기대법원 2018. 6. 21. 선고 2015후1454 전원합의체 판결
[1] [다수의견] 현저한 지리적 명칭·그 약어 또는 지도만으로 된 상표 또는 서비스표(이하 이 둘을 줄여 `상표’라고만 한다)는 등록을 받을 수 없다[구 상표법(2016. 2. 29. 법률 제14033호로 전부 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같다) 제6조 제1항 제4호. 현행 상표법 제33조 제1항 제4호도 같은 취지로 규정하고 있다]. 이러한 상표는
자세히 보기대법원 2011. 4. 28. 선고 2009다19093 판결
[1] 외국 법원의 관할을 배제하고 대한민국 법원을 관할법원으로 하는 전속적인 국제관할의 합의가 유효하기 위해서는, 당해 사건이 외국 법원의 전속관할에 속하지 아니하고, 대한민국 법원이 대한민국법상 당해 사건에 대하여 관할권을 가져야 하는 외에, 당해 사건이 대한민국 법원에 대하여 합리적인 관련성을 가질 것이 요구되며, 그와 같은 전속적인
자세히 보기대법원 2019. 12. 24. 선고 2016다222712 판결
[1] 외국적 요소가 있는 법률관계에 관하여 적용되는 준거법으로서의 외국법은 사실이 아니라 법으로서 법원은 직권으로 그 내용을 조사하고, 그러한 직권조사에도 불구하고 외국법의 내용을 확인할 수 없는 경우에 한하여 조리 등을 적용해야 한다.
자세히 보기서울고등법원 2008. 7. 8. 선고 2007나80093 판결
[1] 저작권자의 결정 등의 문제를 본국법에 의할 경우에는 우선 본국법을 정하는 것 자체가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같은 영토 내에서도 저작물의 본국이 어디냐에 따라 저작권 침해 여부 판단이나 저작권자 결정의 결론이 달라져 저작물 이용자나 법원 등이 이를 판단, 적용하기가 쉽지 아니하다. 반면, 저작권자의 결정 문제는 저작권의 존부 및 내용
자세히 보기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국제 지식재산사건에서 준거법을 판단한 우리 법원 판결의 동향과 분석
국제사법연구
2021 .06
섭외적 저작권 침해에 관한 비교법적 고찰 : 동경지방재판소 평성26년 7월 16일 판례를 중심으로
국제사법연구
2016 .12
국제사법 제26조의 ‘가장 밀접한 관련’의 판단에 있어서 사적 이익의 중요성
비교사법
2016 .11
국제적 지식재산권 분쟁에 있어 국제사법의 해석과 적용
사법
2023 .03
해상법 분야의 국제사법 준거법 조항 개정을 위한 입법론적 검토
국제사법연구
2022 .06
국제상사계약의 준거법에 관한 헤이그원칙상 준거법으로서 법규범(rules of law) 지정
동북아법연구
2016 .01
계약적 채무의 준거법에 관한 한국 판례의 최근 동향
국제사법연구
2016 .12
중재상사중재에서 분쟁의 실체의 주관적 준거법
중재연구
2023 .06
서식의 충돌의 국제사법상 쟁점
국제사법연구
2017 .06
在日韓國人의 상속을 둘러싼 준거법 결정에 관한 諸問題 -東京地判 2016. 10. 26. 平28(ワ)5502號에 대한 비판적 연구-
국제사법연구
2019 .12
중국 국제사법상 계약의 준거법 결정
법학논집
2015 .01
국제 지식재산권 분쟁의 재판관할 및 준거법 연구 - 메타버스 IP 분쟁에 대한 신국제사법의 적용 가능성 검토 -
기본연구
2022 .12
국제라이선스계약과 국제사법 - 한일비교국제사법적 관점에서 -
국제사법연구
2020 .12
한국국제사법학회 30년의 회고와 과제: 국제재판관할법의 정립을 넘어 준거법규정의 개정을 향하여
국제사법연구
2023 .06
국제사법에 대한 헌법의 영향
저스티스
2019 .02
국제사법에서 준거법의 지정에 갈음하는 승인: 유럽연합에서의 논의와 우리 법에의 시사점
국제거래와 법
2021 .10
당사자자치의 원칙과 불통일법국법의 지정 -유럽국제사법상의 논의와 우리나라 국제사법에의 시사점-
국제사법연구
2019 .12
헤이그 국제상사계약 준거법 원칙
통상법률
2015 .10
CLIP 원칙의 소개 및 우리 법과의 비교 : 준거법에 대한 규정을 중심으로
국제사법연구
2018 .06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