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Ⅰ. 서론
Ⅱ. 등록지식재산권 관련 국내 주요 판결
Ⅲ. 저작권 관련 국내 주요 판결
Ⅳ. 저작권 관련 해외 사례
Ⅴ. 결어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서울고등법원 2009. 1. 21. 선고 2007나96470 판결
자세히 보기대법원 2012. 12. 13. 선고 2011후958 판결
[1] 상표법 제6조 제1항 제4호는 현저한 지리적 명칭·그 약어 또는 지도만으로 된 상표는 등록을 받을 수 없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와 같은 상표는 그 현저성과 주지성 때문에 상표의 식별력을 인정할 수 없어 어느 특정 개인에게만 독점사용권을 부여하지 않으려는 데 그 규정의 취지가 있다. 이에 비추어 보면, 상표법 제6조 제1항 제4호의 규정은 현저한 지리
자세히 보기서울고등법원 2012. 7. 25. 선고 2011나70802 판결
[1] 여우 머리 또는 영문 `FOX’를 형상화한 도안을 창작·공표하여 자전거용 의류 등 제품에 표시하여 생산·판매하여 온 甲 외국회사가 위 도안과 동일·유사한 표장들에 관하여 국내 상표권자로서 등록을 마친 상표 등을 스포츠 의류 등 제품에 표시하여 생산·판매하는 乙 주식회사 등을 상대로 저작권침해금지를 구한 사안에서, 국제사법 제24조는 `지식재산권의 보
자세히 보기대법원 2018. 6. 21. 선고 2015후1454 전원합의체 판결
[1] [다수의견] 현저한 지리적 명칭·그 약어 또는 지도만으로 된 상표 또는 서비스표(이하 이 둘을 줄여 `상표’라고만 한다)는 등록을 받을 수 없다[구 상표법(2016. 2. 29. 법률 제14033호로 전부 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같다) 제6조 제1항 제4호. 현행 상표법 제33조 제1항 제4호도 같은 취지로 규정하고 있다]. 이러한 상표는
자세히 보기서울고등법원 2020. 1. 21. 선고 2019나2007820 판결
자세히 보기대법원 2011. 4. 28. 선고 2009다19093 판결
[1] 외국 법원의 관할을 배제하고 대한민국 법원을 관할법원으로 하는 전속적인 국제관할의 합의가 유효하기 위해서는, 당해 사건이 외국 법원의 전속관할에 속하지 아니하고, 대한민국 법원이 대한민국법상 당해 사건에 대하여 관할권을 가져야 하는 외에, 당해 사건이 대한민국 법원에 대하여 합리적인 관련성을 가질 것이 요구되며, 그와 같은 전속적인
자세히 보기대구지방법원 2015. 7. 10. 선고 2014노816 판결
자세히 보기서울중앙지방법원 2007. 8. 23. 선고 2006가합89560 판결
[1] 국제사법 제2조는 국제재판관할권 인정 기준에 관해 실질적 관련의 원칙을 받아들여 소송원인인 분쟁이 된 사안 또는 원·피고 등의 당사자가 법정지인 우리나라와 `실질적 관련’을 가지는 경우에 우리나라 법원에 국제재판관할권을 인정하고, 이러한 실질적 관련의 유무는 국제재판관할 배분의 이념과 합리적인 원칙에 따라 결정되어
자세히 보기서울중앙지방법원 2008. 6. 20. 선고 2007가합43936 판결
[1] 지적재산권의 침해를 원인으로 한 침해정지 및 손해배상청구는 모두 `지적재산권의 보호’에 관한 법률관계로서 원칙적으로 국제사법 제24조에 의해 그 준거법을 `침해지법’으로 정함이 상당하다.
자세히 보기대법원 2015. 12. 10. 선고 2015도11550 판결
[1] 피고인이 상표권자 갑이 인형 등을 지정상품으로 하여 등록한 상표 “”(이하 `등록상표’라고 한다)와 동일 또는 유사한 상표 “”(이하 `피고인 사용상표’라고 한다)가 부착된 인형을 수입·판매함으로써 갑의 상표권을 침해하였다는 내용으로 기소된 사안에서, 등록상표는 청색의 오뚝이 형상 내부에 토끼얼굴 도형이 그려져 있고 하단에 프랑스어 문자 `
자세히 보기대법원 2015. 1. 15. 선고 2012다4763 판결
[1] 甲 주식회사의 乙에 대한 영업방해금지청구의 선결문제로서, 乙이 甲 회사와 맺은 근로계약에 따라 완성되어 대한민국에서 등록한 특허권 및 실용신안권에 관한 직무발명에 기초하여 외국에서 등록되는 특허권 또는 실용신안권에 대하여 甲 회사가 통상실시권을 취득하는지가 문제 된 사안에서, 乙이 직무발명을 완성한 곳이 대한민국이고, 甲 회사가 직무발명에 기초하여
자세히 보기대법원 2009. 10. 29. 선고 2007도10735 판결
자세히 보기대법원 2004. 7. 22. 선고 2003다62910 판결
자세히 보기서울중앙지방법원 2011. 1. 27. 선고 2010가합27248 판결
자세히 보기대법원 2015. 1. 29. 선고 2014후2283 판결
[1] 상표법 제6조 제1항 제4호는 현저한 지리적 명칭·그 약어 또는 지도만으로 된 상표는 등록을 받을 수 없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와 같은 상표는 현저성과 주지성 때문에 상표의 식별력을 인정할 수 없어 어느 특정 개인에게만 독점사용권을 부여하지 않으려는 데 규정의 취지가 있다. 이에 비추어 보면, 상표법 제6조 제1항 제4호의 규정은 현저한 지리적 명칭
자세히 보기서울고등법원 2011. 12. 8. 선고 2011나20210 판결
자세히 보기대구지방법원 2010. 8. 17. 선고 2009가합11550 판결
자세히 보기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지식재산의 준거법에 관한 입법 방안
국제사법연구
2021 .06
해상법 분야의 국제사법 준거법 조항 개정을 위한 입법론적 검토
국제사법연구
2022 .06
계약적 채무의 준거법에 관한 한국 판례의 최근 동향
국제사법연구
2016 .12
在日韓國人의 상속을 둘러싼 준거법 결정에 관한 諸問題 -東京地判 2016. 10. 26. 平28(ワ)5502號에 대한 비판적 연구-
국제사법연구
2019 .12
국제사법 제26조의 ‘가장 밀접한 관련’의 판단에 있어서 사적 이익의 중요성
비교사법
2016 .11
중국 국제사법상 미디어에 의한 인격권 침해의 준거법 결정
미디어와 인격권
2015 .11
섭외적 저작권 침해에 관한 비교법적 고찰 : 동경지방재판소 평성26년 7월 16일 판례를 중심으로
국제사법연구
2016 .12
중재상사중재에서 분쟁의 실체의 주관적 준거법
중재연구
2023 .06
해상사건에서 실질을 반영한 준거법 적용 경향
국제사법연구
2022 .06
준거법의 분열에 관한 연구
국제사법연구
2016 .12
불법행위와 국제재판관할합의 및 준거법 결정원리 - 대법원 2019. 4. 23. 선고 2015다60689 판결 -
한국해법학회지
2021 .11
국제상사계약의 준거법에 관한 헤이그원칙상 준거법으로서 법규범(rules of law) 지정
동북아법연구
2016 .01
베트남 국제사법의 특징과 유의점 : 재산관계의 준거법을 중심으로
법학연구
2016 .03
서식의 충돌의 국제사법상 쟁점
국제사법연구
2017 .06
저작권 분쟁에 있어서 외국적 요소와 준거법 결정
홍익법학
2021 .09
준거법 선택 합의의 범위와 한계
경희법학
2020 .01
국제라이선스계약과 국제사법 - 한일비교국제사법적 관점에서 -
국제사법연구
2020 .12
공동해손의 준거법 결정에 관한 연구 -한국과 중국을 중심으로-
홍익법학
2017 .01
편의치적선의 준거법 결정에 관한 고찰-대법원 2014.7.24. 선고 2013다34839 판결 평석-
한국해법학회지
2015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