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요약문】
1. 들어가는 말
2. 감정의 인지성이란 무엇인가?
3. 아리스토텔레스의 인과적 정의
4. 정의를 통한 감정의 개별화
5. 나가는 말 :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의의 양상과 역할은 무엇인가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아리스토텔레스의 파토스적 설득의 실현 기반
수사학
2016 .12
아리스토텔레스의 수사학적 감정론에 대한인지주의적 해석의 몇 가지 문제
철학연구
2015 .09
아리스토텔레스의 『수사학』에서 감정과 판단의 문제
수사학
2021 .12
아리스토텔레스의 감정 인지성론에 가해져야 할 제한
철학논총
2016 .10
고전소설의 감정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2019 .01
감정의 변화 양상 연구 : 트랜스아이덴티티 이론을 중심으로
인문콘텐츠
2025 .03
아리스토텔레스 감정 이론에서의 인지적 요소
철학논집
2023 .02
인공 지능에서 인공 감정으로 : 감정을 가진 기계는 실현가능한가?
철학
2017 .05
감정에 기반한 도덕 이론과 편향성의 문제
윤리학
2024 .06
맹자와 장자의 감정 이해
퇴계학논집
2024 .06
감정연구의 도전 : 흐르는 성찰성과 은폐된 미래
한국근대문학연구
2016 .10
상호교섭적 감정 어휘 의미 조정 경험을 통한 사회·감정 문식성 향상 방안 연구 - 의미 규범 형성을 통한 감정 인식 교육을 중심으로 -
국어교육연구
2018 .12
듀이적 감정론에서 ‘관심으로서 감정’의 기능에 관한 연구
철학탐구
2024 .08
전쟁기념관 어린이박물관에서 부모의 감정에 대한 의미 네트워크 분석 연구
박물관학보
2024 .06
1960년대 소설에 재현된 ‘감정’의 역학과 사유구조 연구
한국문학과 예술
2018 .12
감정과 공공성
철학논총
2017 .04
감정, 이성 그리고 진정으로 원하는 것에 관하여
윤리학
2020 .01
체화된 평가로서의 감정과 감정의 적절성 문제
인간·환경·미래
2016 .04
데카르트에서 합리적 감정의 가능 조건으로서 자기 인식
철학논집
2022 .11
‘분단감정어 사전’ 개발 연구
통일인문학
2018 .09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