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국문요약
Ⅰ. 문제 제기
Ⅱ. 「수산생물질병 관리법」상 통고처분의 특성
Ⅲ. 수산생물질병 관리법상 통고처분의 문제점과 개선점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대법원 1980. 10. 14. 선고 80누380 판결
조세범처벌절차법에 의하여 범칙자에 대한 세무관서의 통고처분은 행정소송의 대상이 아니다.
자세히 보기대법원 1962. 1. 31. 선고 4294행상40 판결
성질상으로는 행정처분이라 하여도 그것이 전부 행정소송의 대상으로 취소변경을 소구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형사절차에 관한 행위의 옳고 그른 것은 형사소송법규에 의하여서만 다툴 수 있고 행정소송의 대상이 될 수 없는 것인 바, 조세범처벌절차법에 의한 통고처분은 그 처분을 받은 자가 통고취지를 이행하지 아니한 때에는 세무관서의 선발에 의하여 형
자세히 보기대법원 1995. 2. 24. 선고 94도252 판결
가. 친고죄나 세무공무원 등의 고발이 있어야 논할 수 있는 죄에 있어서 고소 또는 고발은 이른바 소추조건에 불과하고 당해 범죄의 성립 요건이나 수사의 조건은 아니므로, 위와 같은 범죄에 관하여 고소나 고발이 있기 전에 수사를 하였다고 하더라도, 그 수사가 장차 고소나 고발이 있을 가능성이 없는 상태하에서 행해졌다는 등의 특단의 사정이 없는
자세히 보기대법원 1995. 6. 29. 선고 95누4674 판결
도로교통법 제118조에서 규정하는 경찰서장의 통고처분은 행정소송의 대상이되는 행정처분이 아니므로 그 처분의 취소를 구하는 소송은 부적법하고, 도로교통법상의 통고처분을 받은 자가 그 처분에 대하여 이의가 있는 경우에는 통고처분에 따른 범칙금의 납부를 이행하지 아니함으로써 경찰서장의 즉결심판청구에 의하여 법원의 심판을 받을 수 있게 될 뿐
자세히 보기대법원 2011. 3. 10. 선고 2008도7724 판결
[1] 법률에 의하여 고소나 고발이 있어야 논할 수 있는 죄에 있어서 고소 또는 고발은 이른바 소추조건에 불과하고 당해 범죄의 성립요건이나 수사의 조건은 아니므로, 위와 같은 범죄에 관하여 고소나 고발이 있기 전에 수사를 하였더라도, 그 수사가 장차 고소나 고발의 가능성이 없는 상태하에서 행해졌다는 등의 특단의 사정이 없는 한, 고소나 고발
자세히 보기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통고처분 유형분류에 관한 재고
공법연구
2015 .12
범칙금 통고처분과 공소사실의 동일성
법학논고
2024 .01
시설보호아동의 복지 관점에서 본 소년법상 통고제도
한국아동복지학
2016 .12
통고처분에 승복한 범칙자의 불복 가능성 - 부당이득반환청구 소송을 중심으로 -
인권과 정의
2021 .01
범칙금 통고처분·즉결심판 제도의 위헌성과 개혁방안 ― 도로교통법을 중심으로 ―
공법연구
2022 .10
수산자원의 지속가능한 이용을 위한 바다목장제도의 합리적인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법과정책
2016 .01
집회⋅시위 금지통고죄의 합헌적 운용
일감법학
2017 .01
한국 수산식품의 세계화
포브스 코리아
2022 .12
소방공무원의 직무질환에 관한 연구
한국경호경비학회지
2019 .01
초등 예비교사의 수산해양 교육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장소로서 수산과학관을 중심으로
한국환경교육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23 .12
경찰공무원의 질병 발생에 대한 탐색 연구
한국경호경비학회지
2020 .01
역량 중심 생애주기 맞춤형 생물다양성 교육 프로그램 개발: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NNIBR)을 중심으로
한국환경교육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24 .12
취소소송에서의 소송물과 심리범위 그리고 판결의 효력
사법
2021 .12
행정처분의 취소소송에 있어서 처분사유의 추가ㆍ변경 - 일본의 학설 및 판례의 분석과 그 시사점을 중심으로 -
법학논집
2021 .01
왜 환자들은 자신의 질병에 대해 계속 알고 싶어 하지 않을까? : 질병이해단계 별 건강정보 활용경험의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2017 .12
도시개발사업의 개발계획 변경과 소의 이익
건설법연구
2019 .10
[2022 해양수산 창업 콘테스트] 해양수산에서 발굴한 혁신 아이디어
포브스 코리아
2022 .12
중국군의 생물영역 군사화 논의와 대비 연구
국방연구
2024 .03
러닝 - 미리 준비하는 생물 다양성①_기업이 생물 다양성 감소에 대비해야 하는 이유
한경BUSINESS
2023 .07
선체부착생물오손의 규제에 관한 연구
해사법연구
2018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