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논문요지
Ⅰ. 들어가는 말
Ⅱ. 징벌적 손해배상의 법적 성격과 도입
Ⅲ. 개정 제조물책임법에서의 징벌적 손해배상의 요건
Ⅳ. 외국의 징벌적 손해배상을 명한 판결의 국내적 효력
Ⅴ. 향후 징벌적 손해배상책임의 도입방안
Ⅵ. 제조물책임법에 있어서 집단소송제
Ⅶ.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대법원 1992. 6. 23. 선고 91다33070 전원합의체 판결
가. 피용자와 제3자가 공동불법행위로 피해자에게 손해를 가하여 그 손해배상채무를 부담하는 경우에 피용자와 제3자는 공동불법행위자로서 서로 부진정연대관계에 있고, 한편 사용자의 손해배상책임은 피용자의 배상책임에 대한 대체적 책임이어서 사용자도 제3자와 부진정연대관계에 있다고 보아야 할 것이므로, 사용자가 피용자와 제3자의 책임비율에 의하여 정
자세히 보기대법원 2016. 1. 28. 선고 2015다207747 판결
[1]민사소송법 제217조 제1항 제2호는 외국법원의 확정판결 또는 이와 동일한 효력이 인정되는 재판의 승인요건으로 `패소한 피고가 소장 또는 이에 준하는 서면 및 기일통지서나 명령을 적법한 방식에 따라 방어에 필요한 시간여유를 두고 송달받았거나 (공시송달이나 이와 비슷한 송달에 의한 경우를 제외한다) 송달받지 아니하였더라도 소송에 응하였을 것’을 규정
자세히 보기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징벌적 손해배상제도의 도입과 개선에 관한 연구
일감법학
2016 .01
징벌적 손해배상 도입의 상법개정안에 관한 고찰
재산법연구
2020 .01
대륙법계 국가에서 징벌배상제의 의의와 정당화 사유
재산법연구
2021 .01
징벌적 손해배상제도에 관한 소고
동아법학
2018 .02
징벌적 손해배상제도의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법학논총
2023 .06
징벌적 손해배상제도의 실효성 제고방안에 관한 고찰
법학연구
2022 .03
징벌적 손해배상보다 배심제가 먼저다
민주법학
2018 .01
징벌적 손해배상제도의 형사체계편입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하도급법상의 적용제한을 중심으로-
홍익법학
2017 .01
징벌적 손해배상책임에 관한 비교법적 고찰 - 미국과 한국의 비교를 중심으로 -
미국헌법연구
2021 .12
저작권법 개정안에서 징벌적 손해배상제도에 관한 소고
계간 저작권
2021 .01
제조물책임과 징벌적 손해배상
저스티스
2019 .06
효율적 소비자피해구제의 대안으로서 징벌적 손해배상제도
재산법연구
2021 .01
명예훼손의 주관적 성립요건과 징벌적 손해배상책임
재산법연구
2021 .01
전보배상과 징벌적 손해배상 및 3배 배상제도에 관한 연구- 개인정보보호법상의 3배 배상제도의 도입에 즈음하여 -
경영법률
2015 .01
징벌적 손해배상의 핵심 기능과 관련 법률안의 문제점
비교사법
2021 .05
징벌적 손해배상소송에서의 준형사적 절차보장에 관한 연구
저스티스
2025 .02
상법 개정안의 징벌적 손해배상제도에 관한 소고
기업과혁신연구
2021 .12
징벌적 손해배상의 수용 가능성 - 민법을 중심으로 -
민사법의 이론과 실무
2017 .08
한·중 징벌적 손해배상제도 비교 분석
IP Focus
2020 .12
징벌적 손해배상제도 도입방안에 관한 연구
법경제학연구
2016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