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구독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역사적 의미와 그 성립요건
Ⅲ. 자녀에 대한 법적 문제
Ⅳ. 재산분할청구권 문제
참고문헌
Abstract
대법원 1997. 1. 24. 선고 95도448 판결
[1] 협의상 이혼이 가장이혼으로서 무효로 인정되려면 누구나 납득할 만한 특별한 사정이 인정되어야 하고, 그렇지 않으면 이혼당사자 간에 일시적으로나마 법률상 적법한 이혼을 할 의사가 있었다고 보는 것이 이혼신고의 법률상 및 사실상의 중대성에 비추어 상당하다.
자세히 보기대법원 1967. 2. 7. 선고 66다2542 판결
망 갑이 신 민법 시행전에 사망하였고 사망 당시 동인의 호적상에는 생존한 가족이 한사람도 없었으며 또 그 직후에도 생전 또는 사후양자가 입적된 것이라 하더라도 원고는 구 관습상에 의하여 최근친자로서 권리귀속에 의하여 본건 재산을 취득한 것으로 볼 여지가 있다.
자세히 보기대법원 1976. 9. 14. 선고 76도107 판결
피고인들이 해외로 이주할 목적으로 이혼신고를 하였다 하더라도 일시적이나마 이혼할 의사가 있었다고 보여지므로 혼인 및 이혼의 효력발생여부에 있어서 형식주의를 취하는 이상 피고인 등의 이건 이혼신고는 유효하다 할 것이다.
자세히 보기대법원 1981. 7. 28. 선고 80므77 판결
청구인은 피청구인이 외국이민을 떠났다가 3년 후에 다시 귀국하여 혼인신고를 하여 주겠다고 하여 이를 믿고 이혼신고를 하였다면 별다른 사정이 없는 한 당사자 간에 일시적이나마 법률상의 부부관계를 해소할 의사가 있었다고 할 것이니 그 이혼신고는 유효하다고 할 것이다.
자세히 보기대법원 1994. 12. 2. 선고 94므901,94므918 판결
이혼 및 재산분할 사건에서 위자료 및 재산분할금을 지급하기 위하여 부동산의 처분이 불가피하다 하여 그 처분에 관하여 부과될 양도소득세 상당액을 분할대상재산의 가액에서 미리 공제하여야 한다고 볼 수 없다.
자세히 보기대법원 1995. 3. 28. 선고 94므1584 판결
가. 사실혼이란 당사자 사이에 혼인의 의사가 있고, 객관적으로 사회관념상으로 가족질서적인 면에서 부부공동생활을 인정할 만한 혼인생활의 실체가 있는 경우이므로, 법률혼에 대한 민법의 규정 중 혼인신고를 전제로 하는 규정은 유추적용할 수 없으나, 부부재산의 청산의 의미를 갖는 재산분할에 관한 규정은 부부의 생활공동체라는 실질에 비추어 인정되는
자세히 보기대법원 1969. 12. 9. 선고 68므9 판결
협의이혼 당사자 혼자만이 출석하여 이미 작성된 이혼신고서를 제출하였다 하더라도 호적공무원이 이를 진정한 것으로 알고 수리한 이상 그 효력이 있다.
자세히 보기대법원 1975. 8. 19. 선고 75도1712 판결
이혼 당사자간에 혼인 생활을 실질상 폐기하려는 의사는 없이 단지 강제집행의 회피,기타 어떤 다른 목적을 위한 방편으로 일시적으로 이혼신고를 하기로 하는 합의가 있었음을 인정할 증거가 없다면 이혼당사자간에 일응 일시나마 법률상 적법한 이혼을 할 의사로서 이혼신고를 한 것으로 인정되고 부부관계는 유효하게 일단 해소되었다고 보아야 할 것이므로
자세히 보기대법원 1993. 6. 11. 선고 93므171 판결
협의이혼에 있어서 이혼의사는 법률상 부부관계를 해소하려는 의사를 말하므로 일시적으로나마 법률상 부부관계를 해소하려는 당사자간의 합의하에 협의이혼신고가 된 이상 협의이혼에 다른 목적이 있더라도 양자간에 이혼의사가 없다고는 말할 수 없고 따라서 이와 같은 협의이혼은 무효로 되지 아니한다.
자세히 보기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우리나라 협의이혼제도의 개정 및 발전과정에 관한 소고 ╶ 제도적 개선방안에 대한 제언을 겸하여╶
안암법학
2019 .01
재판상 이혼에 관한 소송법적 고찰
법조
2019 .01
유책배우자의 이혼청구권에 관한 소고
법학연구
2015 .12
우리나라 시·군·구 이혼율 차이의 사회·경제적 결정요인: 실증분석
응용경제
2015 .01
이혼연령과 결혼기간이 범죄에 미치는 영향: 광역 지자체별 분석
한국치안행정논집
2017 .01
이혼의 자유와 이혼 후 부양에 관한 검토- 파탄주의로 전환을 위한 부부간 부양의무의 재해석 -
인권과 정의
2021 .09
효과적인 단회기 협의이혼 상담프로그램의 모색
상담학연구: 사례및실제
2017 .12
유책배우자의 이혼청구에 관한 연구 -대법원 2015. 9. 15. 선고 2013므568 전원합의체 판결을 중심으로-
영남법학
2017 .01
젠더 관점에서의 이혼법제에 대한 검토 : 유책주의와 파탄주의를 중심으로
이화젠더법학
2015 .12
유책배우자의 이혼청구권 : 대법원 2015. 9. 15. 선고 2013므568 전원합의체 판결
법학연구
2017 .02
이혼가정자녀의 부모이혼경험과 외상후 성장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2015 .09
[성경원 박사의 ‘성경(性敬) 시대’] 美와 달리…왜 한국서 이혼 줄었을까
매경이코노미
2022 .02
이혼 후 자녀 양육문제에 대한 연구
가족법연구
2016 .07
이혼이 성인 남성과 여성의 우울 수준에 미치는 영향
가족과 문화
2021 .01
결혼이주여성 이혼경험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2015 .06
중국 이혼율에 영향을 주는 요인 연구
한중사회과학연구
2016 .01
이혼 남성의 자녀 양육 경험 연구
상담학연구
2015 .08
이혼소송 피고 중년여성의 심리적 경험 연구
상담학연구
2015 .02
개인의 존엄과 이혼에 관한 비교법적 고찰- 헌법 제10조와 제36조 제1항의 관점에서 본 대법원판례(2013므568)와 EU국가의 입법을 중심으로 -
유럽헌법연구
2016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