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1. 들어가며
2. 직접민주주의와 대의민주주의를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3. 시민의회는 직접성이 내재된 추첨형 대의민주주의다
4. 어떤 시민의회인가?
5. 나가며
참고문헌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Deliberative Democracy의 한국적 수용과 시민의회 : 숙의, 심의, 토의라는 번역을 중심으로
현대정치연구
2018 .04
‘시민의회’의 대표성 : 유권자 개념의 변화와 유사성 문제를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보
2018 .06
지역정치와 다양성 : 직접민주주의 제도로서 추첨제의 활용 가능성 연구
GRI 연구논총
2018 .05
고대 아테네 민주주의와 광장 민주주의
경제와사회
2017 .03
마르크스와 자유롭게 연합한 인간들의 민주주의
경제와사회
2018 .09
다층적 시민의회 제안
법학논총
2024 .06
대의제 공고화론과 시민 민주주의: 한국 민주주의 이론과 현실의 불균형
현대정치연구
2019 .04
크립토민주주의의 의미와 쟁점
공공정책연구
2023 .01
Why Are South Korean Citizens Dissatisfied with Democracy?
비교민주주의연구
2019 .01
민주주의와 다문화주의의 관계에 관한 이론적 검토
법교육연구
2019 .01
한국 민주주의의 품질 : 민주화가 정체된 결함 있는 민주주의
현대정치연구
2016 .10
Discussions on the Direct Democracy’s Strengths and Weaknesses in legalistic aspects in the U.S.
헌법판례연구
2016 .12
민주주의는 가능한가? : 대의 민주주의의 한계와 대안
21세기정치학회보
2024 .09
대의민주주의를 넘어, 하이브리드 민주주의는 가능한가? -새로운 민주적 거버넌스 모델을 위한 시론-
공법연구
2020 .12
직접민주주의 적용과 한계에 관한 헌법적 고찰 : 심의민주주의 이론의 재해석을 중심으로
한국경호경비학회지
2021 .01
경제 영역에서의 민주주의에 관한 고찰
경제법연구
2021 .12
21세기 사회주의의 민주주의 모델
사회경제평론
2019 .01
경제와 민주주의: 적인가, 친구인가?
제도와 경제
2017 .01
2010년 아시아 국가들의 “좋은 민주주의” 지표
정치정보연구
2015 .06
시민참여제와 민주주의 : 합의회의와 공론화위원회를 중심으로
시민과세계
2018 .06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