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기업 근무자를 대상으로 정보지향성과 기술사업화능력이 기술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분석하였다. 정보지향성은 정보기술 능력, 정보관리능력, 정보행위 및 가치를 기술사업화능력은 제품화능력, 생산화능력, 마케팅능력을 하위변수로 구성하였고 기술축적역량을 조절변수로 하였다. 기업 직장인으로부터 수집한 온라인과 오프라인 설문지 349부에 대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SPSS v22.0과 Process macro v3.4를 사용한 분석결과 첫째, 정보지향성과 기술성과는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정보지향성이 기술사업화능력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모두 유의적으로 나타났고, 기술사업화능력의 변수에서 제품화능력과 생산화능력에 미치는 영향력의 크기는 정보기술능력, 정보관리능력, 정보행위 및 가치의 순으로 나타났으나, 마케팅역량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앞선 결과와 다르게 정보행위 및 가치, 정보관리능력, 정보기술능력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술사업화능력이 기술성과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보지향성과 독립적으로 기술사업화능력의 제품화능력, 생산화능력, 마케팅능력은 기술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보기술능력과 정보관리능력은 기술성과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정보행위 및 가치에서 제품화능력과 마케팅능력을 경유하는 간접효과는 유의적으로 나타났으나, 생산화능력을 경유하는 간접효과는 비유의적으로 나타났다. 넷째, 기술사업화능력의 하위변수 중 생산화능력과 기술축적 역량의 상호작용항만이 유의적으로 나타났고, 기술축적역량과 제품화능력, 마케팅능력은 비유의적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생산화능력과 기술성과 간의 관계가 기술축적능력이 높은 기업이 낮은 기업보다 낮을 것이라고 해석할 수 있으며 후속 연구로는 다른 독립변수의 도입, 매개변수 및 조절변수가 도입된 모형을 통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information orientation and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ability on technological performance of corporate workers. Information Orientation consisted of information technology capability, information management ability, information behavior and value, and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capability consisted of productization capability, production capability, and marketing capability as sub-variables, and technology accumulation capacity was used as a coordinating variable. An empirical analysis was performed on 349 online and offline questionnaires collected from corporate employees. Analysis results using SPSS v22.0 and Process macro v3.4 First, information orientation and technical performance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In addition, information orienta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capability. The magnitude of the influence on the productive capacity and the productive capacity in the variable of competency was in the order of information technology ability, information management ability, information behavior and value, but the influence on marketing capability was different from the previous results. Information management ability and information technology ability were in order. Second, the product commercialization capability, production capability, and marketing ability of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abil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echnology performance independently of information orientation. Third, the information technology ability and information management ability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technical performance, but the indirect effect through the commercialization ability and marketing ability in information behavior and value was significant, the indirect effect of transit was not significant. Fourth, only the interaction terms of production capacity and technology accumulation capacity were significant among the sub-variables of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capacity, and technology accumulation capacity, commercialization capacity, and marketing ability were not significant. Therefore, the relationship between productive capacity and technological performance can be interpreted as lower in firms with high technology accumulating ability than in lower firms, subsequent studies will require the introduction of other independent variables, models through the introduction of parameters and control variab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