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구독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국문초록
Ⅰ. 들어가는 글
Ⅱ. 독일법의 유럽화와 보편적인 행정법 질서로서의 적법절차
Ⅲ. 현대 행정법과 행정절차에 대한 새로운 의미의 발견
Ⅳ. 한국법과 행정절차의 미래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헌법재판소 2013. 8. 29. 선고 2011헌바253,2012헌바470(병합) 전원재판부
가. 형사소송법 제56조의2 제1항은 소송당사자가 공판정에서의 심리에 대한 속기, 녹음 등을 신청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법원이 직권으로 이를 명할 수 있도록 한 것일 뿐이고, 그 위헌 여부가 당해 사건 재판의 결론 등에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없으므로 위 법률조항의 위헌 여부는 무고죄의 성립 여부를 판단하는 당해 사건의 재판의 전제가 되지 아니한다
자세히 보기대법원 2012. 10. 18. 선고 2010두12347 전원합의체 판결
[1] 구 국세징수법(2011. 4. 4. 법률 제10527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국세징수법’이라 한다)과 개별 세법의 납세고지에 관한 규정들은 헌법상 적법절차의 원칙과 행정절차법의 기본 원리를 과세처분의 영역에도 그대로 받아들여, 과세관청으로 하여금 자의를 배제한 신중하고도 합리적인 과세처분을 하게 함으로써 조세행정의 공정을 기함과 아울러 납세의
자세히 보기대법원 2007. 9. 21. 선고 2006두20631 판결
[1] 행정청이 침해적 행정처분을 하면서 당사자에게 행정절차법상의 사전통지를 하거나 의견제출의 기회를 주지 아니하였다면 사전통지를 하지 않거나 의견제출의 기회를 주지 아니하여도 되는 예외적인 경우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한 그 처분은 위법하여 취소를 면할 수 없다.
자세히 보기헌법재판소 1992. 12. 24. 선고 92헌가8 전원재판부〔위헌〕
1. 가. 재판(裁判)의 전제성(前提性)이라 함은, 첫째 구체적(具體的)인 사건이 법원에 계속(係屬)중이어야 하고, 둘째 위헌여부가 문제되는 법률(法律)이 당해 소송사건의 재판과 관련하여 적용(適用)되는 것이어야 하며, 셋째 그 법률(法律)이 헌법에 위반되는지의 여부에 따라 당해 사건을 담당한 법원(法院)이 다른 내용의 재판(裁判)
자세히 보기대법원 2013. 1. 16. 선고 2011두30687 판결
[1] 구 행정절차법(2012. 10. 22. 법률 제11498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21조 제1항, 제4항, 제22조에 의하면, 행정청이 당사자에게 의무를 과하거나 권익을 제한하는 처분을 하는 경우에는 미리 처분하고자 하는 원인이 되는 사실과 처분의 내용 및 법적 근거, 이에 대하여 의견을 제출할 수 있다는 뜻과 의견을 제출하지 아니하는 경우의 처리방
자세히 보기대법원 2001. 7. 27. 선고 99두2970 판결
[1] 구 자연공원법(1995. 12. 30. 법률 제5122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같은법시행령(1996. 7. 1. 대통령령 제15106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같은법시행규칙(1996. 7. 3. 내무부령 제687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그리고 구 환경영향평가법(1999. 12. 31. 법률 제6095호 환경·교통·재해등에관한영향평
자세히 보기대법원 2017. 4. 7. 선고 2016두63224 판결
자세히 보기헌법재판소 2011. 9. 29. 선고 2010헌마68 전원재판부
가. 이 사건 법률조항 중 `해당 선거’란 배우자의 범행 시점에 후보자가 되려는 사람이 입후보하고자 한 특정 선거로서 그 사람의 신분·접촉 대상·언행 등 객관적 징표를 고려하여 합리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것이고, 이는 당선무효의 원인이 되는 배우자의 기부행위에 대한 형사재판에서 확정되는 것으로, 헌법이 요구하는 명확성의 원칙에 배치된다고
자세히 보기헌법재판소 2001. 11. 29. 선고 2001헌바41 전원재판부
가.형사소송에 있어서 경찰 공무원은 당해 피고인에 대한 수사를 담당하였는지의 여부에 관계없이 그 피고인에 대한 공판과정에서는 제3자라고 할 수 있어 수사 담당 경찰 공무원이라 하더라도 증인의 지위에 있을 수 있음을 부정할 수 없고, 이러한 증인신문 역시 공소사실과 관련된 실체적 진실을 발견하기 위한 것이지 피고인을 유죄로 추정하기 때문이라고
자세히 보기대법원 2001. 6. 29. 선고 99두9902 판결
[1] 구 환경영향평가법(1997. 3. 7. 법률 제5302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4조에서 환경영향평가를 실시하여야 할 사업을 정하고, 그 제16조 내지 제19조에서 대상사업에 대하여 반드시 환경영향평가를 거치도록 한 취지 등에 비추어 보면, 같은 법에서 정한 환경영향평가를 거쳐야 할 대상사업에 대하여 그러한 환경영향평가를 거치지 아니
자세히 보기헌법재판소 2011. 10. 25. 선고 2009헌마691 전원재판부
가. 이 사건 훈령조항은 거실 및 작업장 검사를 할 수 있는 시기와 방법 등을 정해 놓은 것으로서, 교도관에게 `가급적’ 수용자가 없는 상태에서 거실 또는 작업장 검사를 할 수 있도록 하고 있을 뿐 상황에 따라 수용자가 거실이나 작업장에 있을 때에도 검사할 수 있게 하는 재량의 여지를 주고 있어서, 교도관의 구체적인 검사행위 없이 이
자세히 보기헌법재판소 2014. 9. 25. 선고 2012헌마523 전원재판부
가. 분리수용과 처우제한은 징벌제도의 일부로서 징벌 혐의의 입증을 위한 과정이고, 그 과정을 거쳐 징벌처분을 내리기 위해서는 징벌위원회의 의결이라는 사전 통제절차를 거쳐야 하며, 내려진 징벌처분에 대해서는 행정소송을 통해 불복할 수 있다는 점, 조사단계에서의 분리수용이나 처우제한에까지 일일이 법원에 의한 사전 또는 사후통제를 요구한다면 징벌제도 시행에
자세히 보기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행정절차법의 처분절차상 주요 쟁점 : 절차보장의 확대를 위한 적극적 해석의 필요성
행정법연구
2017 .06
행정법상 처분 개념 - 성문 개념 규정과 대법원 판례에 대한 비판 -
공법연구
2024 .12
행정기본법 제정안의 평가와 주요쟁점 검토
공법학연구
2020 .11
행정절차법의 미래 방향 ― 함의와 법적 성격, 입법론적 개정방향을 중심으로 ―
공법연구
2017 .06
中国2014年《行政诉讼法》修正案的主要内容及未来发展
동북아법연구
2015 .01
행정제재에 관한 법제 개선 방안 - 벌칙 중심 규제의 개혁을 위한 시론 -
홍익법학
2022 .12
독일의 ‘신사조 행정법학’과 한국의 행정법학
법학연구
2021 .09
2021년 행정법(I) 중요판례평석
인권과 정의
2022 .03
2018년 행정법(I) 중요판례평석
인권과 정의
2019 .01
2019년 행정법(I) 중요판례평석
인권과 정의
2020 .01
소상공인 등 영업자 규제 차등화를 위한 행정형벌의 과태료 전환
법학논집
2022 .09
지방행정에서의 정책법무에 관한 공법적 연구 ― 일본에서의 신 지방 행정법학의 등장과 발전과정을 중심으로 ―
공법연구
2021 .06
보건의료 행정처분의 이유제시에 관한 고찰
한양법학
2016 .02
2017년 행정법(I) 중요 판례
인권과 정의
2018 .01
松潤 姜求哲 敎授 행정법학의 성과와 경향적 특성
법학논총
2022 .02
The Quasi-judicialization of Administrative Reconsideration Trial Procedures of China
중국지역연구
2024 .02
행정절차법·행정쟁송법의 제·개정과 공법학자의 역할
공법연구
2015 .10
2022년 행정법(I) 중요판례평석
인권과 정의
2023 .03
행정형벌의 행정질서벌화 경향에 대한 소고 - 행정형벌의 비범죄화·비형벌화를 중심으로 -
한국범죄심리연구
2015 .01
산업안전보건법상의 행정명령과 도급규제의 문제점에 대한 고찰
노동법포럼
2019 .1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