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정경숙 (홍익대학교 일반대학원) 이도훈 (홍익대학교)
저널정보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제65호
발행연도
2021.1
수록면
263 - 272 (10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연구는 광고를 통해 소비자의 기억 속에 저장된 한국인의 정서적 속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단기기억, 장기기억, 심상가 등의 이론적 검토와 한국인의 심리와 정서를 연구한 선행연구와 도서를 고찰하였다. 심리학에서는 근·현대사의 역사적 배경 이 한국인을 설명하는 중요한 지표가 된다고 보고하고 있으며 한국인의 정서에는 전통적 유교관, 국가의 명예나 애국심을 고취하는 국가주의, 위계문화가 존재하고 있다고 밝히고 있다. 또한 가난한 역사적 배경은 물질만능주의를 사회적 신념으로 만들어냈다고 보고하고 있다. 본 연구는 위와 같은 한국인의 정서가 담긴 광고를 2000년대 이후 제작된 광고사례를 중심으 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2002년 만들어진 금융광고는 많은 관심을 불러일으켰던 광고로써, 2015년 다시 소비자들의 기억을 재생시키는 방식으로 제작되었는데 이러한 메시지는 물질주의가 반영된 것으로써 그 의미를 분석 하였고 또한 애국적 국가 주의, 성별에 대한 유교적 가치관 등의 의미가 담긴 광고를 통해 논제를 전개시켰다. 그러나 최근 뉴미디어의 발달로 정보수 용 과정과 전달매개체가 여러 형태로 존재하여 광고를 제작하는 방식과 표현이 더욱 자유로움에도 불구하고 한국인의 정서 가 다양하게 반영된 광고 사례를 찾아보기 매우 어려웠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이 광고의 언어적 메시지를 분석하기 위해 광고 를 탐색하는 과정을 통해 광고의 메시지가 변화된 것을 알 수 있었는데 이는 광고영역 뿐만 아니라, 유교의 전통적 가치관이 서서히 퇴색되어 가고, 새로운 세대의 교체와 그에 따른 문화기류의 변화에서 비롯된 것이라 추측한다. 이러한 사회적 분위 기는 한국인이 지닌 다채로운 문화·예술적 재능에 대한 관심과 다양한 문화콘텐츠 제작의 필요성, 확장성에 대한 요구로 이어진다. 본 논고는 유교문화와 같은 정서적 가치관에서 나아가 다양한 전통문화의 모티프와 테마를 현대적으로 해석하고, 시대 변화를 반영한 광고가 제작되길 기대한다. 또한 소비와 구매, 정보제공 등 광고의 1차적 기능에서 벗어나 상업과 예술 의 경계와 영역을 허물 수 있는 광고 형식의 변화를 제안하는 것으로 본고의 의미를 두었다. 앞으로 전달력 있는 메시지를 개발하여 한국형 광고가 세계적으로 나아갈 수 있는 광고의 방향에 대한 후속 연구의 필요성도 제시해 본다.

목차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