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학습공동체 참여 현황 및 학습공동체 저해요인과 활성화 방안에 대한 인식과 보육교사의 전문성과 연계된 핵심역량과 학습공동체 운영 특성에 대한 교육요구도 탐색을 통해 교사의 핵심역량을 증진하는 학습공동체의 활성화를 지원하는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기초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에 보육교사 19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Excel 2013과 SPSS 23.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대응표본 t-검증, Borich 요구도와 The Locus for Focus 모델 유형 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첫째, 보육교사들은 학습공동체 참여가 교사의 전문성 신장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으나 이러한 학습공동체 참여에 저해가 되는 요인을 주로 개인적 측면에서는 학습공동체에 대한 이해 부족과 조직·환경적 측면에서는 참여시간 확보의 어려움, 어린이집 협력적이지 못한 조직문화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들은 학습공동체의 활성화를 돕는 프로그램은 교사의 전문성 증진을 위해 필요하며, 여러 가지의 프로그램 요구도를 나타내었으며 참여의사를 밝혔다. 셋째, 프로그램의 주요 내용으로 구현될 교육요구도에서는 보육교사의 ‘영유아발달 이해’, ‘놀이지원’, ‘영유아와의 상호작용’, ‘교직윤리 및 인성’ 영역의 역량과 학습공동체 운영에서는 ‘놀이지원 전략을 동료교사와 함께 개발하는 것’, ‘교사의 강점을 학습공동체에서 활용하는 것’, ‘학습공동체에서 배운 내용을 교실에 적용하는 것’, ‘학습공동체에서 영유아의 발달과 변화 정도를 평가하는 것’ 등에 대한 교육요구도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 보육교사 학습공동체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학습공동체 참여시간 확보 및 조직문화의 변화를 위한 의사소통 및 리더십 등의 체계적 지원과 학습공동체가 교사의 요구를 반영하여 영유아의 이해 및 교직윤리 및 인성, 놀이지원 역량 등을 강화하는 데 도움이 되는 세부 학습주제를 선정하는 것들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lay the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programs to support the activation of learning communities that promote teachers' core competencies by exploring the awareness of childcare teachers' participation in learning communities, obstacles and activation plans. Accordingly, a survey was conducted on 191 childcare teachers, and frequency analysis and response sample t-validation using Excel 2013 and SPSS 23.0 programs. The Borich demand and The Focus for Focus model type analysis were conducted.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childcare teachers recognize that participation in the learning community is helpful in enhancing the professionalism of teachers, but mainly in terms of personal understanding of the learning community, difficulty in securing participation time, and non-cooperative organizational culture in daycare centers. Second, childcare teachers expressed their intention to participate in programs that help revitalize the learning community, which are necessary to improve the professionalism of teachers, show various program demands. Third, in terms of educational needs to be implemented as the main contents of the program, in the areas of 'understanding infant development', 'play support', 'interaction with infants', 'development of play support strategies with fellow teachers', 'application of teacher's strengths' and 'learning community' As a result, it can be seen that systematic support such as communication and leadership to secure time to participate in the learning community and change the organizational culture, and detailed learning topics to help the learning community strengthen understanding, teaching ethics, personality, and play support capabil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