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한정한 (단국대학교)
저널정보
한국어문교육연구회 어문연구(語文硏究) 어문연구(語文硏究) 제44권 제1호
발행연도
2016.3
수록면
89 - 130 (42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이 글의 목적은 주로 言語 類型論의 관점에서 統辭論의 懸案들을 살펴보고 學校文法 記述을 위한 提案을 해 보는 것이다. 필자는 현재 提起되고 있는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形式主義 體系性을 堅持하고 있는 현행 학교문법의 기술 원칙으로는 더 이상 체계 내부적으로 해결하지 못한다고 생각한다. 본고에서는 그러한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體系性 轉換의 관점에서 찾아보려는 시도로 言語 類型論의 機能?意味的 문법 설명을 도입하고자 한다. 具體的으로 본고에서 다루고 있는 통사론의 현안은 9가지로 각각 다음과 같다. (1) 單語의 정의, (2) 語尾의 문법 지위, (3) 品詞와 單語의 차이, (4) 格助詞의 인정 여부, (5) 主語의 정의, (6) 目的語의 정의, (7) 補語의 정의, (8) ‘이다’는 띄어 쓰자, (9) 內包와 接續이다.

목차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43)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