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국세징수권의 소멸시효 중단사유로서 재판상 청구의 인정 여부 - 대법원 2020. 3. 2. 선고 2017두41771 판결을 중심으로 -
조세법연구
2021 .04
‘債權執行’에 있어서 消滅時效中斷事由에 관한 小考
법학논집
2017 .01
판결에 의하여 확정된 채권의 재판상 청구와 시효중단 - 대법원 2018. 7. 19. 선고 2018다22008 전원합의체 판결을 중심으로 -
민사법의 이론과 실무
2019 .01
일본의 과세에 관한 시효제도의 이론적 고찰 - 징수권의 시효중단을 중심으로 -
법조
2019 .01
소멸시효의 개정을 위한 비교법적 연구 - 일반채권소멸시효와 제766조 제3항을 중심으로 -
저스티스
2022 .08
조세채권 시효중단 사유로서 재판상 청구
홍익법학
2019 .01
일본 개정민법상 소멸시효기간 및 기산점
법학논총
2020 .09
소멸시효 중단사유로서 ‘재판상 청구’에 관한 검토
집합건물법학
2022 .02
재해사망보험금 지급청구권과 소멸시효의 기산점 ?대법원 2021.1.14. 선고 2018다209713 판결에 대한 평석을 중심으로?
경영법률
2021 .01
소멸시효 제도의 존재의의 및 소멸시효 중단사유로서의 승인에 대한 소고
인권과 정의
2018 .01
소멸시효의 새로운 이해
사법
2023 .06
채권압류 후 피압류채권의 소멸시효가 완성된 경우 시효중단사유의 종료 여부- 대법원 2017. 4. 28. 선고 2016다239840 판결 -
법조
2019 .01
이자 등 지급의 시기·방법 등에 관한 새로운 약정과 민법 제163조 제1호의 단기소멸시효
사법
2018 .01
소멸시효 중단의 효력 범위에 관한 고찰 - 광의의 재판절차와 관련된 행위를 중심으로 -
강원법학
2025 .02
단기소멸시효와 진행개시장애사유 ? Boissonade 민법초안 및 일본舊민법으로부터의 시사 ?
일감법학
2020 .01
변제충당과 소멸시효 중단사유로서 승인의 인정 범위 - 대법원 2021. 9. 30. 선고 2021다239745 판결 -
문화미디어엔터테인먼트법
2022 .06
독일민법의 소멸시효제도
법학연구
2021 .02
소멸시효이익의 포기 : 대법원 2013. 2. 28.선고 2011다21556판결과 관련하여
법학논총
2017 .02
미성년자에 대한 성적 침해와 손해배상청구권의 소멸시효
홍익법학
2022 .09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