된장에 알코올 또는 겨자, 마늘을 단독 또는 혼합 첨가하고 식염농도를 6%로 줄인 저식염 된장의 저장중 품질특성을 비교하였다. 된장의 amylase 활성은 저장 중에 서서히 저하되었으나 protease의 활성은 저장 4주 이후에 감소되었다. 된장의 효모수는 겨자나 알코올의 첨가로 저장 중에 낮은 수준을 유지하였으나 세균수의 차이는 없었다. 된장의 산화 환원전위는 저장 8~12주까지 증가하였으며, 수분활성도의 저하는 식염 10%인 대조구와 메주된장에서 심하였다. 된장은 저장중 L-과 b-값이 서서히 저하되었고 a-값은 증가하였으며, 마늘의 첨가로 저장 중에 색도의 변화가 적었다. 저식염 된장에 알코올이나 겨자의 첨가로 저장 중에 가스발생은 억제되었으며, 된장 저장중 pH는 알코올 첨가구에서 높아 적정산도가 낮았다. 된장의 산가는 저식염 된장에서 높았으나 알코올-마늘 혼합 첨가구에서 낮았다. 항균물질의 첨가로 된장 저장중의 환원당은 높았으나 알코올은 겨자 첨가구에서 감소가 심하였다. 아미노산성 질소는 알코올 첨가구에서 감소가 심하였고 암모니아성 질소는 알코올과 겨자 첨가구에서 낮았다. 16주 저장시킨 된장의 맛과 향기, 종합적인 기호도는 알코올 또는 마늘을 첨가한 저식염 된장이 양호하였다.
The effect of additives on the quality of low salted doenjang was investigated during storage. Amylase activity gradually decreased during storage and protease activity decreased after four weeks. The number of yeast was lower in the mustard or ethanol added groups without a difference in bacterial count. The L- and b-values decreased gradually during storage with lower total color difference (ΔE) in garlic added doenjang. Gas production was reduced in the ethanol or mustard added groups. Titratable acidity and acid values were low in the ethanol and ethanol-garlic added ones. A reducing sugar content was higher in the groups with added additives. Ethanol decreased to the largest extent in mustard added doenjang. Amino-type nitrogen decreased in ethanol added doenjang, whereas ammonia-type nitrogen was low in the ethanol or mustard added groups. The taste, flavor, and overall acceptability of doenjang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ethanol or garlic added groups than in the other group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