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양미선 (건국대학교) 이주형 (건국대학교) 박찬일 (건국대학교)
저널정보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제26권 제2호 (통권 제121호)
발행연도
2017.4
수록면
45 - 54 (10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2)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Recently, cosmetic shops play important roles in effectively delivering brand identity to customers. As a most effective mean to deliver brand identity to customers, a shop becomes the space to sell and buy brand image. This study divides brand identity into external identity as a space and internal identity as a brand philosophy with analysis of brand identity structure. To do this, the study proposition that brand awareness is high when there is high conformity between brand identities and survey to five Korean domestic cosmetic manufacturers that have a flagship store has been conducted to prove the proposition. With oneway Analysis of Variance on the survey, the result that the conformity between group"s brand identities has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brand awareness has been drawn. The findings are as followings;
The spatial expression elements that have the strongest effects on the conformity between brand identities are façade, logo and sign, spatial image, fixtures image, symbolic sculpture and programs in order. For spatial elements, colors, shapes and materials have effects on conformity between brand identities in order. With analysis of spatial elements and their colors, shapes and materials, it is shown that all brand colors are used. In addition, brand conformity is emphasized with shapes and materials as well as colors. Futhermore, the brand awareness is improved when emphasis with such spatial elements is repeated in continuous manner. Also, the higher brand identity got, the higher brand awareness went up.

목차

Abstract
1. 서론
2. 브랜드 아이덴티티 구조 이론 분석을 통한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구조와 요소
3. 화장품 플래그십 스토어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평가 및 결과 분석
4. 화장품 플래그십 스토어 브랜드 아이덴티티에 대한 인지도 평가 및 브랜드 아이덴티티 일치도와의 영향관계 분석
5. 결론
참고문헌

참고문헌 (19)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