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김하은 (튜링겐코리아) 박가은 (휴먼코스메틱) 장민정 (휴먼코스메틱) 전동하 (메타랩스코스메틱) 김한혁 (경북테크노파크) 정용하 (튜링겐코리아)
저널정보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Food Science and Preservation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제26권 제7호
발행연도
2019.12
수록면
837 - 847 (11page)
DOI
10.11002/kjfp.2019.26.7.837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연구는 복숭아 재배 시에 발생하는 폐기물인 적과 복숭아를 화장품, 식품 등의 바이오 산업군에서 활용 가능한지를 연구하고자 적과 복숭아 추출물의 유용성 물질 분석, 항산화능, 피부 주름생성 저해능, 항균력을 알아보았다. 적과 복숭아를 NMR 분석법으로 동정한 결과, 3-O-cafffeoyl quinic acid, naringenin 7-O-β-D-glucose, kaempferol 3-O-rutinoside, quercetin 3-O-β-D-glucose, kaempferol 3-β-D-glucoside으로 총 5가지의 구조를 동정하였다. 그중 3-O-caffeoyl quinic acid 물질이 가장 많이 관찰되었으며, 이 구조 물질은 폴리페놀 화합물인 클로로겐산(Chlorogenic acid)이며, 항산화제의 속성을 가지고 라디칼 생성에 관여하는 효소를 억제한다고 알려져 있다(31). 선행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화합물을 지표 성분으로 설정하여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적과 복숭아를 여러 가지 조건으로 추출하여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항산화, 주름생성 저해 활성, 항균활성을 확인한 결과 PR과 PH(10% surfactant, 24℃ 또는 60℃) 조건으로 추출한 추출물이 가장 높은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하였으며, 항산화능과 주름생성 저해활성 또한 다른 추출조건에 비해 높을 것을 확인하였다. DPPH radical 소거능 실험에서는 PH-10에서 85.04%의 활성을 보였고, ABTS+ radical 소거능 실험에서 PH-10 에서 100.09%로 양성대조군인 ascorbic acid 보다 항산화능이 높았다. Superoxide dismutase 유사 활성 모든 추출조건에서 최고 활성 47.04%로 대조군에 비해 낮은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지만, hydrogen peroxide 저해 활성실험에서는 PR-10에서 98.51%의 활성을 보이며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보다 저해능이 높았다. 피부의 주름 형성에 관여하는 elastase와 collagenase 저해율을 측정한 결과 PH-10에서 각 69.75%, 52.72%로 최고 활성을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적과 복숭아 추출물의 항산화 물질의 함량이 높은 것과 항산화 효능을 지니는 것으로 확인됨으로써 항산화 화장품 및 건강기능식품 등의 소재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목차

Abstract
서론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요약
References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20-059-000279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