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구독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국문초록
Ⅰ. 서론
II. 국제적 다단계판매소송에서 준거법 결정
Ⅲ. 국제적 다단계판매소송의 국제재판관할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서울중앙지방법원 2009. 5. 29. 선고 2008가합40668 판결
[1] 국가정보원은 국가안전보장과 관련된 국가정보기관으로서 그 업무수행 과정에서 국민의 기본권을 제한하거나 침해할 수 있는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에 헌법 제37조 제2항의 취지에 따라 정부조직법에 설립의 근거를 두고 국가정보원법에서 그 직무의 범위를 명확하게 규정하고 있는 것이므로, 국가정보원의 직무 범위를 규정한
자세히 보기대법원 1981. 2. 10. 선고 80다2236 판결
1. 교통사고의 장소가 외국이라고 하더라도 자기를 위하여 자동차를 운행하는 자가 국내법인이고 그에 의하여 고용된 사고차의 운전자와 피해자가 다같이 우리나라 국민이라면 국내법이 적용되어야 하고 섭외사법을 적용할 것이 아니다.
자세히 보기대법원 2013. 7. 12. 선고 2006다17539 판결
[1] 국제재판관할은 당사자 간의 공평, 재판의 적정, 신속 및 경제를 기한다는 기본이념에 따라 결정하여야 한다. 구체적으로는 소송당사자들의 공평, 편의 그리고 예측가능성과 같은 개인적인 이익뿐만 아니라 재판의 적정, 신속, 효율 및 판결의 실효성 등과 같은 법원 내지 국가의 이익도 함께 고려하여야 하고, 이러한 다양한 이익 중 어떠한 이익을 보호할 것인지
자세히 보기대법원 1995. 11. 21. 선고 93다39607 판결
[1] 섭외사건의 국제 재판관할에 관하여 일반적으로 승인된 국제법상의 원칙이 아직 확립되어 있지 아니하고 이에 관한 우리 나라의 성문법규도 없는 이상, 섭외사건에 관한 외국 법원의 재판관할권 유무는 당사자간의 공평, 재판의 적정, 신속을 기한다는 기본이념에 따라 조리에 의하여 결정함이 상당하고, 이 경우 우리 나라의 민사소송법의 토지관할
자세히 보기대법원 2004. 3. 25. 선고 2001다53349 판결
[1] 대한민국 법원의 관할을 배제하고 외국의 법원을 관할법원으로 하는 전속적인 국제관할의 합의가 유효하기 위하여는, 당해 사건이 대한민국 법원의 전속관할에 속하지 아니하고, 지정된 외국법원이 그 외국법상 당해 사건에 대하여 관할권을 가져야 하는 외에, 당해 사건이 그 외국법원에 대하여 합리적인 관련성을 가질 것이 요구된다고 할 것이고, 한
자세히 보기대법원 2012. 10. 25. 선고 2009다77754 판결
[1] 국제사법 제25조 제1항은 “계약은 당사자가 명시적 또는 묵시적으로 선택한 법에 의한다. 다만 묵시적인 선택은 계약 내용 그 밖에 모든 사정으로부터 합리적으로 인정할 수 있는 경우에 한한다.”고 규정하여 계약의 준거법을 당사자가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하면서, 당사자의 준거법 선택은 명시적인 지정뿐만 아니라 묵시적인 지정도 가능하도록 하고, 다만
자세히 보기대법원 1979. 11. 13. 선고 78다1343 판결
양 당사자가 모두 내국인인 경우에 있어서 불법행위지가 단순히 우연적이고 형식적인 의미를 갖는데 그치는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섭외사법을 적용하여 처리하여야 할 합리적인 이유는 없는 것이다.
자세히 보기대법원 1988. 4. 12. 선고 85므71 판결
가. 민사소송법 제203조 제1호의 규정취지는 우리나라에서 외국판결을 승인하기 위하여는 그 판결을 한 외국법원이 당해사건에 관하여 우리나라의 법률 또는 조약 등에 의한 국제재판관할원칙에 따라 국제재판관할권을 가지고 있음이 인정되어야 한다는 것으로 풀이되고 위 법조항은 외국법원의 이혼판결에도 적용된다.
자세히 보기대법원 1992. 7. 28. 선고 91다41897 판결
가. 섭외사건에 관하여 국내의 재판관할을 인정할지의 여부는 국제재판관할에 관하여 조약이나 일반적으로 승인된 국제법상의 원칙이 아직 확립되어 있지 않고 이에 관한 우리 나라의 성문법규도 없는 이상 결국 당사자간의 공평, 재판의 적정, 신속을 기한다는 기본이념에 따라 조리에 의하여 이를 결정함이 상당하다 할 것이고, 이 경우 우리 나라의 민사
자세히 보기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국제소비자계약에 관한 국제사법적 고찰
국제사법연구
2015 .06
2023년 국제거래법 중요판례평석
인권과 정의
2024 .05
서식의 충돌의 국제사법상 쟁점
국제사법연구
2017 .06
중국 국제사법상 소비자계약의 준거법에 관한 연구 - 섭외민사관계법률적용법 제42조를 중심으로 -
법학연구
2022 .06
국제전자소비자계약에 있어서 준거법에 관한 연구
가천법학
2018 .01
계약적 채무의 준거법에 관한 한국 판례의 최근 동향
국제사법연구
2016 .12
불법행위와 국제재판관할합의 및 준거법 결정원리 - 대법원 2019. 4. 23. 선고 2015다60689 판결 -
한국해법학회지
2021 .11
소비자계약 및 근로계약 사건의 국제재판관할의 일반적 규정 방식에 대한 비판적 검토
국제사법연구
2018 .06
소비자계약 및 그 분쟁해결조항에 대한 소비자보호의 범위와 한계
국제거래법연구
2020 .01
2021년 국제거래법 중요판례평석
인권과 정의
2022 .05
헤이그 국제상사계약 준거법 원칙
통상법률
2015 .10
뤼셀 규정상의 보험계약과 관련된 보호적 관할의 판단기준에 관한 연구 -Aspen Underwriting v. Credit Europe Bank NV 사건의 평석을 통해-
법학연구
2019 .12
한국국제사법학회 30년의 회고와 과제: 국제재판관할법의 정립을 넘어 준거법규정의 개정을 향하여
국제사법연구
2023 .06
중국법상 국제적 집단피해에 관한 국제사법적 쟁점
국제사법연구
2015 .06
해상 클레임 관련 최신 하급심 판결례 소개 – 국제사법 쟁점을 중심으로 -
한국해법학회지
2022 .12
준거법 선택 합의의 범위와 한계
경희법학
2020 .01
국제물품매매계약에서 준거법의 결정원리 - 대법원 2022. 1. 13. 선고 2021다269388 판결 -
법학연구
2023 .09
중국 국제사법상 근로계약의 준거법에 관한 연구 - 한중 근로계약 분쟁의 해결에 주는 시사점을 포함하여 -
국제거래와 법
2023 .04
중재상사중재에서 분쟁의 실체의 주관적 준거법
중재연구
2023 .06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