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우리나라의 ISDS 현황
Ⅲ. ISDS에서의 주요 쟁점
Ⅳ. ISDS의 국내 공법 체계에 대한 영향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대법원 2000. 2. 11. 선고 99다61675 판결
[1] 국유재산법 제31조, 제32조 제3항, 산림법 제75조 제1항의 규정 등에 의하여 국유잡종재산에 관한 관리 처분의 권한을 위임받은 기관이 국유잡종재산을 대부하는 행위는 국가가 사경제 주체로서 상대방과 대등한 위치에서 행하는 사법상의 계약이고, 행정청이 공권력의 주체로서 상대방의 의사 여하에 불구하고 일방적으로 행하는 행정처분이라고 볼
자세히 보기대법원 2001. 10. 12. 선고 2001두274 판결
[1] 의료법 제8조 제1항은 의료인이 될 수 없는 결격사유를 규정하면서 그 제4호로 `파산선고를 받고 복권되지 아니한 자`를 들고 있는바, 파산선고를 받은 파산자는 파산법 제137조의 거주지 제한 이외에는 파산법 자체에 의한 신분상 제약은 없으나, 파산법 이외의 사법상 또는 공법상 여러 가지 자격이나 권리의 제약사유가 규정되고 있는 경우가
자세히 보기대법원 2001. 2. 9. 선고 99다55434 판결
[1] 불법행위 성립요건으로서의 위법성은 관련 행위 전체를 일체로만 판단하여 결정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고, 문제가 되는 행위마다 개별적·상대적으로 판단하여야 할 것이므로 어느 시설을 적법하게 가동하거나 공용에 제공하는 경우에도 그로부터 발생하는 유해배출물로 인하여 제3자가 손해를 입은 경우에는 그 위법성을 별도로 판단하여야 하고, 이러한 경
자세히 보기대법원 2002. 6. 25. 선고 2001두5125 판결
의무사관후보생의 병적에서 제적된 자가 몇 세부터 징병검사·현역병입영 등의 의무를 면제받는가 하는 점에 관한 관계 법령의 규정이 개정되어 온 경우, 새로이 개정된 법령의 경과규정에서 달리 정함이 없는 한 위 병적에서 제적될 당시에 시행되는 개정 법령과 그에서 정한 기준에 의하는 것이 원칙이고, 그러한 개정 법령의 적용과 관련하여서는 개정 전
자세히 보기대법원 2005. 7. 29. 선고 2003두3550 판결
[1] 행정행위는 처분 당시에 시행중인 법령과 허가기준에 의하여 하는 것이 원칙이고, 인·허가신청 후 처분 전에 관계 법령이 개정 시행된 경우 신법령 부칙에 그 시행 전에 이미 허가신청이 있는 때에는 종전의 규정에 의한다는 취지의 경과규정을 두지 아니한 이상 당연히 허가신청 당시의 법령에 의하여 허가 여부를 판단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며, 소
자세히 보기대법원 2012. 2. 23. 선고 2010다91206 판결
자세히 보기대법원 2001. 8. 21. 선고 2000두8745 판결
[1] 비관리청의 항만시설 무상사용권은 항만시설이 준공되어 국가에 귀속됨과 동시에 항만법에 따라 발생하므로, 그 무상사용권의 내용도 그 권리의 발생시점인 항만시설의 준공시에 시행되는 법령을 기준으로 정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비관리청이 항만공사 시행허가를 받은 이후 항만법시행령이 비관리청에게 불리하게 개정된 경우, 개정 전의 시행령이 적용될
자세히 보기대법원 1999. 6. 22. 선고 99다7008 판결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라 할지라도 공권력의 행사가 아니고 단순한 사경제의 주체로 활동하였을 경우에는 그 손해배상책임에 국가배상법이 적용될 수 없고 민법상의 사용자책임 등이 인정되는 것이고 국가의 철도운행사업은 국가가 공권력의 행사로서 하는 것이 아니고 사경제적 작용이라 할 것이므로, 이로 인한 사고에 공무원이 간여하였다고 하더라도 국가배
자세히 보기대법원 2000. 3. 10. 선고 97누13818 판결
[1] 구 광업법(1997. 12. 13. 법률 제5454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14조 제2항의 위임에 따라 광업권 존속기간 연장허가의 요건과 절차를 규정하고 있는 같은법시행령{1994. 12. 8. 대통령령 제14424호로 개정된 시행령, 부칙(1994. 12. 8.) 제1항에 의하여 1995. 6. 8.부터 시행} 제3조는 그 제1항
자세히 보기대법원 2020. 5. 14. 선고 2018다298409 판결
[1] 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에 따라 국가가 당사자가 되는 이른바 공공계약은 사경제 주체로서 상대방과 대등한 위치에서 체결하는 사법상 계약으로서 본질적인 내용은 사인 간의 계약과 다를 바가 없으므로, 그에 관한 법령에 특별한 정함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사적 자치와 계약자유의 원칙 등 사법의 원리가 그대로 적용된다.
자세히 보기대법원 2008. 5. 15. 선고 2005두11463 판결
자세히 보기대법원 2020. 7. 29. 선고 2017두63467 판결
[1] 주민소송 제도는 지방자치단체 주민이 지방자치단체의 위법한 재무회계행위의 방지 또는 시정을 구하거나 그로 인한 손해의 회복 청구를 요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지방자치단체 재무행정의 적법성, 지방재정의 건전하고 적정한 운영을 확보하려는 데 목적이 있다. 그러므로 주민소송은 원칙적으로 지방자치단체의 재무회계에 관한 사항의 처리를 직접 목적으로
자세히 보기대법원 1996. 10. 11. 선고 95다56552 판결
[1] 한국도로공사는 고속국도법 제6조 제1항의 규정에 의하여 건설부장관을 대행하여 경부고속도로를 관리하여 오고 있으므로 민법 제758조 제1항이 정하는 공작물의 점유자에 해당한다.
자세히 보기대법원 2001. 1. 5. 선고 98다39060 판결
[1] 국가배상법 제2조 소정의 `공무원`이라 함은 국가공무원법이나 지방공무원법에 의하여 공무원으로서의 신분을 가진 자에 국한하지 않고, 널리 공무를 위탁받아 실질적으로 공무에 종사하고 있는 일체의 자를 가리키는 것으로서, 공무의 위탁이 일시적이고 한정적인 사항에 관한 활동을 위한 것이어도 달리 볼 것은 아니다.
자세히 보기대법원 2018. 2. 13. 선고 2014두11328 판결
[1] 지방자치단체가 일방 당사자가 되는 이른바 `공공계약’이 사경제의 주체로서 상대방과 대등한 위치에서 체결하는 사법상 계약에 해당하는 경우 그에 관한 법령에 특별한 정함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사적 자치와 계약자유의 원칙 등 사법의 원리가 그대로 적용된다.
자세히 보기대법원 1997. 2. 28. 선고 96누1757 판결
[1] 성업공사가 체납압류된 재산을 공매하는 것은 세무서장의 공매권한 위임에 의한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므로, 성업공사가 한 그 공매처분에 대한 취소 등의 항고소송을 제기함에 있어서는 수임청으로서 실제로 공매를 행한 성업공사를 피고로 하여야 하고, 위임청인 세무서장은 피고적격이 없다.
자세히 보기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국제투자분쟁에서의 심사기준과 국가의 규제권한 - 국제투자분쟁 제도가 우리 행정법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
행정법연구
2022 .03
국제투자규범의 ISDS체제 개혁에 관한 연구
국제거래와 법
2019 .07
투자자-국가 분쟁 해결 제도(ISDS)에 관한 연구: 투자 유치국의 국내정치적 요인이 ISDS 제소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국제.지역연구
2022 .03
한⋅호주 FTA 투자분야에 관한 쟁점 연구-ISDS 적용범위와 그 예외를 중심으로-
일감법학
2015 .01
한국이 당사자인 ISDS 사례의 개정 한·미 FTA 「투자자와 국가간 분쟁해결제도」(ISDS)에의 시사점과 향후 대응방향
서울국제법연구
2018 .12
ISD 예방 및 대응시스템에 관한 연구
국제경제법연구
2020 .03
ISDS 개혁에 관한 소고: EU의 접근방식을 중심으로
국제거래와 법
2022 .01
ISD 소송사례를 통해서 본 간접수용 판단의 기준과 국내적 시사점 연구
원광법학
2021 .01
투자자-국가 간 분쟁해결제도(ISDS)의 우리나라 제소 현황과 과제
경제법연구
2022 .12
기후변화대응조치와 투자자국가간분쟁해결제도(ISDS) 간 논의에 관한 연구동향
환경법과 정책
2023 .10
TPP의 투자자-국가 분쟁해결 절차 : 한미FTA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법학논총
2016 .06
[視리즈] 국민연금과 입김① 엘리엇의 교훈_“그 결정이 정부의 뜻” ISD 판결의 함의
더스쿠프
2023 .07
ISDS로 인한 규제권 제한 관련 주요 쟁점과 각국의 대응 태도에 관한 연구
통상법률
2020 .05
투자법원, 투자분쟁해결절차의 합리적 개선방안인가? : 상설법원 도입 움직임의 제도적 함의 및 법적 쟁점
통상법률
2016 .12
리스본 조약 이후 EU의 투자자-국가 분쟁 (Investor-State Dispute Settlement)관련 입법 동향 및 한국에의 시사점
동북아법연구
2015 .01
The EU’s Investment Court System and Prospects for a New Multilateral Investment Dispute Settlement System
[KIEP] 연구자료
2017 .10
Investment Treaty Arbitration Policy in Australia, New Zealand and Korea?
중재연구
2015 .01
투자자-국가 분쟁 해결 제도(ISDS)의 유형과 특징
국제거래와 법
2019 .04
투자보장협정의 체결 동향 - 2019 네덜란드 모델 BIT를 중심으로
통상법률
2023 .06
A Study of the Arbitration Issue on the KOREA and the U.S. FTA
중재연구
2017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