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문화융합으로서의 서사현상과 서사교육 : 아랑설화 기반 서사콘텐츠를 대상으로
국어교육연구
2015 .02
내러티브 비평과 구약 제1내러티브(창세기~열왕기하)의 구조
구약논단
2016 .12
이야기하기와 타자성—앨리스 먼로의 「내 젊은 날의 친구」에 나타난 작가의 성장
영어영문학연구
2024 .06
노계가사에 대한 일고찰 ― 문학치료 서사이론을 중심으로 ―
한국시가문화연구
2018 .01
글로벌 기업의 영어시험 준비 교육 사례연구: 내러티브 정체성 관점으로
영어학
2020 .03
설화에 나타난 과것길의 서사적 기능과 의미
한국언어문학
2016 .01
“空间转向”与叙事空间
중국학논총
2020 .01
『위대한 개츠비』와 『병신과 머저리』에 나타난 화자의 내적 성장과정 연구
동서비교문학저널
2016 .03
감성적 소통을 위한 스토리텔링 교육 연구 - 연설을 중심으로 -
문학교육학
2018 .01
청소년소설 『내 인생의 스프링 캠프』의 공간적 서사 구조와 서사적 정체성 형성 과정
우리말글
2018 .03
디지털 스토리텔링 기반 한국어 교육 방안 연구
언어사실과 관점
2023 .02
글로벌 기업의 언어시험 준비 맥락에서 영어 스토리텔링 프로그램 실행연구 : 내러티브 정체성 관점으로
영어학
2019 .03
Social Media’s Role in Shaping New Narrative
새한영어영문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2024 .10
시나리오 창작을 위한 내러티브 생성 기본 모형 제안 : 프로프의 기능 이론과 그레마스의 서사 이론을 중심으로
인문콘텐츠
2019 .03
동화의 공간 이해 학습을 위한 학습자의 체험 공간 구성 방안
아동청소년문학연구
2022 .06
고교 영어교육에서 내러티브 활용 현황과 전망: 영어교육과 영미문학교육에 주는 시사점
영미문학교육
2021 .12
《홍루몽》 서사 공간의 헤테로토피아적 성격과 다의적 수용 양상 연구
동아인문학
2024 .09
위화(余華) 소설의 서사 전략 및 그 특징 연구 - ≪형제≫와 ≪제7일≫을 중심으로 -
동아인문학
2022 .06
이야기판으로서 방송 스토리텔링 탐색 : 〈꼬리에 꼬리를 무는 그날 이야기〉를 중심으로
스토리앤이미지텔링
2023 .06
‘서사론’의 개념과 역사 고찰
비교문학
2015 .06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