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DBpia Top 10%동일한 주제분류 기준으로
국문초록
Ⅰ. 들어가는 말
Ⅱ. 주제 은닉 서사
Ⅲ. 사후세계 배경 서사
Ⅳ. 중복 서사
Ⅴ. 나가는 말
參考文獻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설화에 나타난 과것길의 서사적 기능과 의미
한국언어문학
2016 .01
『위대한 개츠비』와 『병신과 머저리』에 나타난 화자의 내적 성장과정 연구
동서비교문학저널
2016 .03
노계가사에 대한 일고찰 ― 문학치료 서사이론을 중심으로 ―
한국시가문화연구
2018 .01
교류분석 상담이론과 문학치료학의 상호보완 가능성
문학치료연구
2019 .01
长安的历史叙事与文学想象
중어중문학
2016 .12
“似而不同”:跨越百年的“还乡”叙事
건지인문학
2024 .02
1930~40년대 수학여행의 사회 문화적 맥락과 서사화의 의미
로컬리티 인문학
2017 .10
‘서사론’의 개념과 역사 고찰
비교문학
2015 .06
시나리오 창작을 위한 내러티브 생성 기본 모형 제안 : 프로프의 기능 이론과 그레마스의 서사 이론을 중심으로
인문콘텐츠
2019 .03
白華 梁建植의 「新譯 今古奇觀」 연구
동남어문논집
2018 .01
내러티브 비평과 구약 제1내러티브(창세기~열왕기하)의 구조
구약논단
2016 .12
부모서사의 불안과 형제서사ㆍ자녀서사로의 전이, <보은기우록>
문학치료연구
2024 .04
시점론의 반성과 재정립
한국문예창작
2016 .01
서사학의 관점에서 본 내러티브 연결과 초연결사회
인문과학연구
2021 .03
일제 말기 김남천의 창작방법론과 모더니즘의 영향 관계 - 「녹성당」의 서사 구조 분석을 중심으로
구보학보
2019 .01
문화융합으로서의 서사현상과 서사교육 : 아랑설화 기반 서사콘텐츠를 대상으로
국어교육연구
2015 .02
서사언어의 문화 가치 공정 - 『혼불』을 사례로 방법적 개념을 묻는 시론 -
시학과 언어학
2015 .01
청소년소설 『내 인생의 스프링 캠프』의 공간적 서사 구조와 서사적 정체성 형성 과정
우리말글
2018 .03
Social Media’s Role in Shaping New Narrative
새한영어영문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2024 .10
熱播韓劇《太陽的后裔》的叙事學解讀
한국학논집
2017 .06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