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사회에서 브랜드는 그 가치와 비전을 함축하고 있는 커뮤니케이션의 메시지 중에서도 아주 중요한 요소로 자리 잡고 있다. 브랜드는 우리가 흔히 아는 홍보나 광고를 통한 다양한 감각으로 인지할 수 있는 상품이나 무형의 자산이 될 수도 있지만 현대사회에서의 브랜드의 영역과 가치는 매우 광범위해지고 있다. 크게는 전 세계적으로의 각 국가별 차별화된 브랜드 정책에 의한 국가적 브랜드이미지가 될 수도 있고, 작게는 개인이 블로그나 개인의 소셜미디어를 통한 개인별 브랜드이미지 작업도 있을 수 있다. 본 연구는 현대사회에서의 다양화된 브랜드 이미지 활용에 있어서의 국내 각 지역별 브랜드의 특징적 요소를 분석하고 나아가 대중과 소통할 수 있는 디자인적 요소의 분석을 통해 국내 지역별 특징, 브랜드 고유의 가치를 공유하고 발전시켜 나아가야 할 사항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 내용으로는 국내 각 도별 심벌, 슬로건 및 이미지, 캐릭터 개발의 디자인적 특징을 분석하고 활용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현재의 활용방안과 대중과의 소통적 커뮤니케이션 요소를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으로는 각 도별, 수도권을 비롯한 광역도시별 심벌, 캐릭터 및 지역적 특성과의 연계성 등을 분석하여, 사물, 이미지 등의 조형적 이미지를 분석하고 한다. 그에 따른 디자인적 결과 자료를 토대로 대중과의 소통적 이미지, 언어적 시각, 각 지역별 나타나고 있는 브랜드 디자인에 있어서의 장, 단점을 분석하고 조형적 의미로서 대중들에게 접근할 수 있는 활용방안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지역별로 활용되고 있는 브랜드디자인은 지역의 특징을 잘 나타내고자 하는 마케팅의 하나의 도구로서 표현되고 있으며, 브랜드디자인을 통해 비전과 목표, 공유, 함축하고 있는 것이다. 즉, 지역적 브랜드디자인을 통한 마케팅, 광고 및 홍보는 지역경쟁력과 글로벌경쟁력에 영향을 끼치는 주요수단으로서 지역정체성에 바탕을 둔 차별화되고 긍정적인 지역 이미지를 구축할 수 있으며, 대외 인식 제고에도 영향을 끼치며 장기적인 비젼, 발전전략을 수립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특히, 이러한 시점에서 각 지역별 브랜드디자인의 조형적 의미 분석을 통해 대중, 더 나아가가 다양한 사람들에게 커뮤니케이션 요소로서 다가갈 수 있는 활용 방안을 연구 목표로 한다. 지역별로 나타나는 브랜드디자인은 원활한 커뮤니케이션 역할을 하는 심벌, 로고타입, 슬로건, 캐릭터, 색상, 서체 등 다양한 형태로 표현 될 수 있으며, 그 중에서 특히 매체별 마케팅 요소 및 조형적 의미 분석을 통해 더 나아가 지역 주민들을 비롯한 다양한 대중들에게 사랑받을 수 있는 디자인 요소를 제시하였다.
In the modern society, among the communication messages that imply the values and the visions, the brands have been settling down as the very important elements. Although the brands can become the products which can be recognized with the diverse senses through the PR or the advertisements we commonly know or the intangible assets, the domains and the values of the brands have been becoming very wide-ranging in the modern society. This research intends to analyze the special characteristic elements of the brands by region in Korea. And, furthermore, through the analyses of the design elements that can communicate with the public, this research intends to share the exclusive values of the brands and present the matters that should be developed. As for the method of the research, it is intended to analyze the design features of the symbols, slogans, images, and character developments by each province in Korea and present the plans for the utilizations. Also, by analyzing the designs of the symbols, images, characters, etc. by each megalopolis, it is intended to analyze the current utilization plans and the elements of the communication. As for the method of research resulting from this, it is intended to analyze the symbols, characters, and the connectivities with the regional features, etc. by megalopolis, including by each province and the capital city area. And, thereby, it is intended to analyze the formative images of the things, images, etc. Based on the design result materials resulting from it, it is intended to analyze the weak and strong points with regard to the communication images with the public, the linguistic perspectives, and the brand designs that have been appearing by each region. And it is intended to conduct a research on the plans for the utilizations with which the public can be approached in the formative meaning. The brand designs that have been utilized by region have been expressed as one tool of the marketing that has been intending to represent well the special features of the regions. And, through the brand designs, the visions and the goals have been shared and connoted. Or, in other words, as the main means that have the influences on the regional competitiveness and the global competitiveness, the marketing, the advertising, and the PR through the regional brand designs can establish the differentiated and positive regional images based on the regional identities. They have the influences on the raising of the external recognitions. And they enable the establishments of the long-term visions and development strategies. Especially, furthermore, at such a time point, the goal of the research is to, through the formative meaning analyses of the brand designs by each region, come up with the plans for the utilizations that can approach the diverse people as the communication elements. The brand designs that appear by region can be expressed in the diverse forms, including the symbols, logo types, slogans, characters, colors, fonts, etc. that play the smooth communication roles. And, furthermore and among these, especially, through the analyses of the marketing elements and the formative meanings by medium, the design elements that can be loved by the diverse public, including the residents of the regions, are presen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