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국문요약
Ⅰ. 하트의 법학방법론
Ⅱ. 하트의 형법 이론의 지평
Ⅲ. 형벌의 정당성
Ⅳ. 하트의 형법학 방법론
Ⅴ. 하트의 형법학 방법론의 현대적 의의
참고문헌
헌법재판소 2010. 12. 28. 선고 2010헌가94 전원재판부
이 사건 법률조항은 개인 영업주가 고용한 종업원 등의 범죄행위에 관하여 비난할 근거가 되는 개인 영업주의 의사결정 및 행위구조, 즉 종업원 등이 저지른 행위의 결과에 대한 영업주 개인의 독자적인 책임에 관하여 전혀 규정하지 않은 채, 단순히 영업주가 고용한 종업원 등이 업무에 관하여 범죄행위를 하였다는 이유만으로 영업주 개인에 대하여 형
자세히 보기헌법재판소 2004. 12. 16. 선고 2003헌가12 전원재판부
가.형사법상 책임원칙은 기본권의 최고이념인 인간의 존엄과 가치에 근거한 것으로, 형벌은 범행의 경중과 행위자의 책임 즉 형벌 사이에 비례성을 갖추어야 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기본법인 형법에 규정되어 있는 구체적인 법정형은 개별적인 보호법익에 대한 통일적인 가치체계를 표현하고 있다고 볼 때, 사회적 상황의 변경으로 인해 특정 범죄에 대한 형량
자세히 보기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법의 개념』에 대한 이해와 오해
법철학연구
2020 .12
법적 규칙에 대한 하트의 이해방식
법철학연구
2024 .04
승인의 규칙에 관한 하트의 이론
강원법학
2015 .10
법과 도덕의 분리론에 관한 두 가지 오해 ―풀러에 대한 하트의 비판 재구성―
기초법학연구
2023 .05
중대재해처벌법 경과와 제정 법률에 대한 비판적 검토
형사정책
2021 .01
법이론의 본성에 관한 두 가지 관점 - 부분적인 비교 -
법학연구
2016 .01
대법원의 책임 판단과 책임 ‘귀속’의 기준
형사법연구
2023 .03
한국형사법학 60년: 형벌론의 회고와 전망
형사법연구
2017 .01
대학생의 형벌철학에 대한 인식 연구
한국공안행정학회보
2018 .01
현대법실증주의와 규범성의 문제: 하트의 "내적 관점"을 중심으로
법철학연구
2015 .04
죄형법정주의 : 우리나라 법에 규정된 범죄의 범위, 형벌 수준 및 형벌 간 균등성에 대한 실증분석
저스티스
2019 .02
국제법과 인류학 : 국제사회의 원시성에 대한 비판적 고찰
국제법학회논총
2022 .12
응보주의 형벌론과 교정 정의
교정담론
2021 .01
형가중적 특별법에 관한 헌법재판소 결정문 분석
헌법재판연구
2015 .12
The Role of Competitors in the Enforcement of State Aid Law: Hart Studies in Competition Law
[KIIP] 한국지식재산연구원 도서DB
2017 .12
하트-데블린 논쟁의 연대기적 고찰
법학연구
2020 .11
하트(Robert Hart)와 근대 중국의 박람회
중국학보
2020 .01
법치 개념의 재구성: 형사처벌의 도덕적 정당화 문제에 관하여
법철학연구
2024 .08
형벌이란 무엇이며, 무엇을 지향해야 하는가? : 응보, 예방, 그리고 회복과 연계하여
강원법학
2015 .1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