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Ⅰ. 도입
Ⅱ. 국제상속법 각론
Ⅲ. 반정(反定)
Ⅳ. 조문안
Ⅴ. 결어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대법원 2020. 2. 6. 선고 2017다215728 판결
[1] 구 상법(2017. 10. 31. 법률 제14969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같다) 제735조의3 제3항은 `단체보험계약에서 보험계약자가 피보험자 또는 그 상속인이 아닌 자를 보험수익자로 지정할 때에는 단체의 규약에서 명시적으로 정하는 경우 외에는 그 피보험자의 서면 동의를 받아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는바, 단체의 규약에서 피보험자
자세히 보기대법원 1981. 2. 10. 선고 80다2236 판결
1. 교통사고의 장소가 외국이라고 하더라도 자기를 위하여 자동차를 운행하는 자가 국내법인이고 그에 의하여 고용된 사고차의 운전자와 피해자가 다같이 우리나라 국민이라면 국내법이 적용되어야 하고 섭외사법을 적용할 것이 아니다.
자세히 보기대법원 1979. 11. 13. 선고 78다1343 판결
양 당사자가 모두 내국인인 경우에 있어서 불법행위지가 단순히 우연적이고 형식적인 의미를 갖는데 그치는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섭외사법을 적용하여 처리하여야 할 합리적인 이유는 없는 것이다.
자세히 보기대법원 2000. 6. 9. 선고 98다35037 판결
[1] 섭외사건에 관하여 국내의 재판관할을 인정할지의 여부는 국제재판관할에 관하여 조약이나 일반적으로 승인된 국제법상의 원칙이 아직 확립되어 있지 않고 이에 관한 우리 나라의 성문법규도 없는 이상 결국 당사자 간의 공평, 재판의 적정, 신속을 기한다는 기본이념에 따라 조리에 의하여 이를 결정함이 상당하다 할 것이고, 이 경우 우리 나라의 민
자세히 보기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국제상속사건에서 상속재산분할전의 상속재산의 소유형태
국제사법연구
2022 .06
在日韓國人의 상속을 둘러싼 준거법 결정에 관한 諸問題 -東京地判 2016. 10. 26. 平28(ワ)5502號에 대한 비판적 연구-
국제사법연구
2019 .12
준거법의 분열에 관한 연구
국제사법연구
2016 .12
상속준거법에서의 당사자자치 : EU상속규정을 중심으로
국제사법연구
2017 .06
한국 국제사법에서 상속인 없는 상속재산의 국가 귀속
법학연구
2018 .03
준거법 선택 합의의 범위와 한계
경희법학
2020 .01
베트남 상속법상 유언에 관한 소고 - 2015년 베트남 민법을 중심으로 -
강원법학
2022 .08
유언의 해석
비교사법
2015 .02
이혼의 준거법의 결정방법 및 규율범위와 숨은 반정의 법리의 재고찰 - 대법원 2021. 2. 4. 선고 2017므12552 판결을 계기로 삼아 -
국제사법연구
2022 .06
국제상사계약의 준거법에 관한 헤이그원칙상 준거법으로서 법규범(rules of law) 지정
동북아법연구
2016 .01
헤이그 국제상사계약 준거법 원칙
통상법률
2015 .10
계약적 채무의 준거법에 관한 한국 판례의 최근 동향
국제사법연구
2016 .12
치매와 유언능력의 판단
외법논집
2017 .01
중재상사중재에서 분쟁의 실체의 주관적 준거법
중재연구
2023 .06
공정증서유언의 준거법 결정과 유언의 해석 : 東京地判 2012. 1. 27, 平成22年(ワ)第1086號에 대한 비판적 연구
국제사법연구
2016 .12
한국국제사법학회 30년의 회고와 과제: 국제재판관할법의 정립을 넘어 준거법규정의 개정을 향하여
국제사법연구
2023 .06
국제 지식재산사건에서 준거법을 판단한 우리 법원 판결의 동향과 분석
국제사법연구
2021 .06
국제물품매매계약에서 준거법의 결정원리 - 대법원 2022. 1. 13. 선고 2021다269388 판결 -
법학연구
2023 .09
베트남 국제사법의 특징과 유의점 : 재산관계의 준거법을 중심으로
법학연구
2016 .03
서식의 충돌의 국제사법상 쟁점
국제사법연구
2017 .06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