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신동화 (전북대학교)
저널정보
한국식품과학회 식품과학과 산업 식품과학과 산업 제53권 제2호
발행연도
2020.6
수록면
148 - 165 (18page)

이용수

DBpia Top 5%동일한 주제분류 기준으로
최근 2년간 이용수 순으로 정렬했을 때
해당 논문이 위치하는 상위 비율을 의미합니다.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At beginning the fermentation is naturally occurred by natural microbes. Fermentation techniques apply as two ways, one is fermentation to produce fermented foods and the other is preservation of the foods for longer time for future. They contain various biological active ingredient, like as vitamins. Microorganisms concerning fermentation are well known the functionalities. Each nations in the world have unique and distinct foods and dietary habits on their own specific cultures and accessible edible raw resources of plant or animal origins. Many countries have their unique traditional fermented foods based on their natural conditions. Korea has very famous traditional fermented foods, as Kimchi, fermented soybean products(Jang), fermented fish products(Jeotgal) and vinegar. In this review will discuss the overall fermented foods and typical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foods with functionalities, and future effort to enlarge into wide range of new industry.

목차

Abstract
서론
본론
전통발효식품의 중요성
앞으로의 과제
발효식품의 기능
발효산업의 발전 방향
미생물 산업 분야별 개괄
향후 검토사항
참고문헌

참고문헌 (65)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