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국문초록
Ⅰ. 문제의 제기
Ⅱ. 근로기준법상 근로자성 판단 기준에 관한 대법원 판결법리
Ⅲ. 신한신용정보 채권추심인 노무제공관계 실태
Ⅳ. 신한신용정보 채권추심인에 대한 근로자성 판단
Ⅴ. 근로자 개념의 재검토와 법률행위 해석의 기준
Ⅵ.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대법원 2013. 6. 27. 선고 2010다57459 판결
자세히 보기대법원 2005. 5. 27. 선고 2005두524 판결
[1] 근로기준법상의 근로자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함에 있어서는 그 계약이 민법상의 고용계약이든 또는 도급계약이든 그 계약의 형식에 관계없이 그 실질에 있어 근로자가 사업 또는 사업장에 임금을 목적으로 종속적인 관계에서 사용자에게 근로를 제공하였는지 여부에 따라 판단하여야 하고, 여기서 종속적인 관계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함에 있어서는 업무
자세히 보기대법원 2013. 7. 12. 선고 2013다27336 판결
자세히 보기대법원 2009. 4. 23. 선고 2008도11087 판결
자세히 보기대법원 2007. 1. 25. 선고 2006다60793 판결
[1] 산업재해보상보험법 제54조(제3자에 대한 구상권) 제1항 본문에서의 `제3자’라 함은 피재(被災) 근로자와 산업재해보상보험관계가 없는 자로서 피재 근로자에 대하여 불법행위 등으로 인한 손해배상책임을 지는 자를 말하나, 근로자가 동일한 사업주에 의하여 고용된 동료 근로자의 행위로 인하여 업무상 재해를 입은 경우에 그
자세히 보기대법원 2013. 7. 12. 선고 2011다46371 판결
자세히 보기대법원 2006. 12. 7. 선고 2004다29736 판결
[1] 근로기준법상의 근로자에 해당하는지 여부는 계약의 형식이 고용계약인지 도급계약인지보다 그 실질에 있어 근로자가 사업 또는 사업장에 임금을 목적으로 종속적인 관계에서 사용자에게 근로를 제공하였는지 여부에 따라 판단하여야 하고, 여기에서 종속적인 관계가 있는지 여부는 업무 내용을 사용자가 정하고 취업규칙 또는 복무(인사)규정 등의 적용을
자세히 보기대법원 2014. 11. 13. 선고 2012다42666,42673 판결
[1] 특허발명 실시계약이 체결된 이후에 계약 대상인 특허가 무효로 확정되면 특허권은 특허법 제133조 제3항의 규정에 따라 같은 조 제1항 제4호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처음부터 없었던 것으로 간주된다. 그러나 특허발명 실시계약에 의하여 특허권자는 실시권자의 특허발명 실시에 대하여 특허권 침해로 인한 손해배상이나 금지 등을 청구할 수 없게 될 뿐만 아니라 특
자세히 보기대법원 1994. 12. 9. 선고 94다22859 판결
근로기준법상의 근로자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함에 있어서는 그 계약의형식이 민법상의 고용계약인지 또는 도급계약인지에 관계없이 그 실질에 있어 근로자가 사업 또는 사업장에 임금을 목적으로 종속적인 관계에서 사용자에게 근로를 제공하였는지 여부에 따라 판단하여야 할 것이고, 위에서 말하는 종속적인 관계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함에 있어서는, 업무의
자세히 보기대법원 2005. 11. 10. 선고 2005다50034 판결
[1] 근로기준법상의 근로자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함에는 그 계약의 형식이 민법상의 고용계약인지 또는 도급계약인지에 관계없이 그 실질면에서 근로자가 사업 또는 사업장에 임금을 목적으로 종속적인 관계에서 사용자에게 근로를 제공하였는지 여부에 따라 판단하여야 하고, 그러한 종속적인 관계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함에는 업무의 내용이 사용자에 의하여
자세히 보기대법원 2007. 9. 6. 선고 2007다37165 판결
자세히 보기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위임직 채권추심인 사건 및 유사직종 사건을 대상으로 한 판례 비교분석
경영법률
2016 .01
위임직 채권추심인 근로자성 인정의 법경제학적 분석
경영법률
2016 .01
채권추심의 패러다임을 바꾼 스타트업
포브스 코리아
2024 .10
추심금소송의 요건사실과 항변에 관한 연구
강원법학
2015 .02
「채권의 공정한 추심에 관한 법률」의 비교법적 고찰과 개선방안
인권과 정의
2017 .01
소멸시효 중단사유로서의 압류·추심명령 및 추심소송
법조
2020 .01
채무자의 재판상 청구로 인한 시효중단의 효력이 추심채권자에게 미치는지 여부 - 대상판결: 대법원 2019. 7. 25. 선고 2019다212945판결 -
서강법률논총
2020 .02
(일명) 죽은 채권 부활 금지법에 관한 연구
법학연구
2016 .08
소멸시효가 완성된 채권의 추심- 채권의 공정한 추심에 관한 법률의 관점에서 -
재산법연구
2017 .01
일부 추심금 청구의 시효중단의 효력 범위 - 대법원 2022. 5. 26. 선고 2020다206625 판결과 관련하여 -
법학연구
2024 .08
추심소송과 기판력 -대법원 2020. 10. 29. 선고 2016다35390 판결을 중심으로-
아주법학
2024 .02
채권 투자 A to Z
한경BUSINESS
2023 .06
채권 투자 어떻게 해야 하나
한경BUSINESS
2024 .05
면책채무 지급약정의 효력에 관한 연구 -채무자회생법⋅채권추심법 상의 추심금지조항의 해석을 중심으로-
일감법학
2021 .08
소멸시효기간이 완성된 채무의 일부변제와 시효이익의 포기
법조
2021 .01
추심의 소와 채무자의 당사자적격, 중복된 소제기의 금지
민사판례연구
2015 .01
채권질권의 강제집행에 대한 연구
재산법연구
2015 .01
동산채권담보법상 채권담보권과 채권양도의 법률관계 - 대법원 2016. 7. 14. 선고 2015다71856, 71863 판결에 대한 평석 -
법학논총
2017 .01
금융취약소비자 보호를 위한 소멸시효 완성 채권의 소각에 관한 연구
소비자문제연구
2018 .04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