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Ⅰ. 서론
Ⅱ. 민사소송법 제217조의2의 신설경위
Ⅲ. 대법원 2016. 1. 28. 선고 2015다207747 판결
Ⅳ. 대법원 2015. 10. 15. 선고 2015다1284 판결
Ⅴ. 대법원 판결의 법리적 검토
Ⅵ. 결론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대법원 2016. 1. 28. 선고 2015다207747 판결
[1]민사소송법 제217조 제1항 제2호는 외국법원의 확정판결 또는 이와 동일한 효력이 인정되는 재판의 승인요건으로 `패소한 피고가 소장 또는 이에 준하는 서면 및 기일통지서나 명령을 적법한 방식에 따라 방어에 필요한 시간여유를 두고 송달받았거나 (공시송달이나 이와 비슷한 송달에 의한 경우를 제외한다) 송달받지 아니하였더라도 소송에 응하였을 것’을 규정
자세히 보기대법원 2018. 11. 29. 선고 2016다18753 판결
[1] 집행판결은 외국중재판정에 대하여 집행력을 부여하여 우리나라 법률상 강제집행절차로 나아갈 수 있도록 허용하는 것으로서 변론종결 시를 기준으로 집행력의 유무를 판단하는 재판이다. 중재판정 성립 이후 채무 소멸과 같은 집행법상 청구이의의 사유가 발생하여 중재판정문을 기초로 강제집행절차를 밟아 나가도록 허용하는 것이 우리 법의 기본적 원리에 반한다
자세히 보기광주고등법원 2015. 2. 4. 선고 (제주)2013나1152 판결
자세히 보기대법원 1988. 2. 9. 선고 84다카1003 판결
가. 외국중재판정의승인및집행에관한협약(1973.2.17 조약 제471호) 제1조 제1호, 제2조, 제3조, 제4조, 제5조의 각 규정을 종합해 보면, 외국중재판정이 위 협약에 의하여 승인, 집행될 수 있으려면 우선 당해 중재판정이 위 협약의 적용대상인 동 협약 제1조 제1호 소정의 중재판정이어야 하고 또한 당해 중재판정이 당사자간의 서면에
자세히 보기대법원 2012. 5. 24. 선고 2009다22549 판결
[1] 국제재판관할을 결정할 때는 당사자 간의 공평, 재판의 적정, 신속 및 경제를 기한다는 기본이념에 따라야 하고, 구체적으로는 소송당사자들의 공평, 편의 그리고 예측가능성과 같은 개인적인 이익뿐만 아니라 재판의 적정, 신속, 효율 및 판결의 실효성 등과 같은 법원 내지 국가의 이익도 함께 고려하여야 하며, 이러한 다양한 이익 중 어떠한 이익을 보호할 필
자세히 보기대법원 2004. 6. 11. 선고 2002다18244 판결
[1] 물건의 일부가 저작재산권의 침해에 관계된 경우에 있어서는 침해자가 그 물건을 제작·판매함으로써 얻은 이익 전체를 침해행위에 의한 이익이라고 할 수는 없고, 침해자가 그 물건을 제작·판매함으로써 얻은 전체 이익에 대한 당해 저작재산권의 침해행위에 관계된 부분의 기여율(기여도)을 산정하여 그에 따라 침해행위에 의한 이익액을 산출하여야 할
자세히 보기서울지방법원 동부지원 1995. 2. 10. 선고 93가합19069 판결
[1] 외국법원에서 선고된 판결이 우리 나라에서 승인되기 위하여는 먼저 그 판결이 확정되어 있어야 하는바, 이 경우의 확정이라 함은 그 판결을 한 외국의 절차에 있어 통상의 불복방법으로는 더이상 불복할 수 없는 상태를 의미하고, 무엇이 통상의 불복방법에 해당하는가는 당해 판결국법에 의하여 결정할 문제이다.
자세히 보기대법원 2015. 10. 15. 선고 2015다1284 판결
[1] 민사소송법 제217조의2 제1항은 “법원은 손해배상에 관한 확정재판 등이 대한민국의 법률 또는 대한민국이 체결한 국제조약의 기본질서에 현저히 반하는 결과를 초래할 경우에는 해당 확정재판 등의 전부 또는 일부를 승인할 수 없다.”라고 규정하고 있는데, 이는 징벌적 손해배상과 같이 손해전보의 범위를 초과하는 배상액의 지급을 명한 외국법원의 확정
자세히 보기대법원 2003. 3. 11. 선고 2000다48272 판결
[1] 구 실용신안법(1998. 9. 23. 법률 제5577호로 전문 개정되기 전의 것) 제31조에서 준용하는 특허법 제130조는 ``타인의 특허권 또는 전용실시권을 침해한 자는 그 침해행위에 대하여 과실이 있는 것으로 추정한다.``라고 규정하고 있는바, 그 취지는 특허발명의 경우 그 내용이 특허공보 또는
자세히 보기서울고등법원 2014. 12. 11. 선고 2014나1463 판결
자세히 보기대법원 2006. 10. 13. 선고 2005다36830 판결
[1] 의장권 등의 침해로 인한 손해액의 추정에 관한 구 의장법(2004. 12. 31. 법률 제7289호 디자인보호법으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64조 제1항 본문에서 말하는 `단위수량당 이익액’은 침해가 없었다면 의장권자가 판매할 수 있었을 것으로 보이는 의장권자 제품의 단위당 판매가액에서 그 증가되는 제품의 판매를 위
자세히 보기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손해전보의 범위를 초과하는 손해배상을 명하는 외국재판의 승인 및 집행* -공서 요건을 중심으로-
국제거래법연구
2022 .12
우리 법상 배액배상의 도입이 징벌적 손해배상을 명한 외국재판의 승인·집행에 미치는 영향 - 대법원 2022. 3. 11. 선고 2018다231550 판결의 평석을 중심으로 -
통상법률
2023 .12
징벌적 손해배상 개념의 수용가능성
法學論文集
2015 .01
전보배상과 징벌적 손해배상 및 3배 배상제도에 관한 연구- 개인정보보호법상의 3배 배상제도의 도입에 즈음하여 -
경영법률
2015 .01
징벌적 손해배상과 법정손해배상 : 우리나라 민법과 양립가능성
경희법학
2016 .01
징벌적 손해배상제도에 관한 국내 입법의 현황과 문제점
홍익법학
2018 .01
징벌적 손해배상제도의 도입방식에 관한 연구
법학논총
2017 .01
차량 화재 사건으로 재조명해 본 징벌적 손해배상 제도: 예방적 배상제도로의 전환가능성에 대한 소고
법학연구
2018 .01
징벌적 손해배상보다 배심제가 먼저다
민주법학
2018 .01
징벌적 손해배상의 핵심 기능과 관련 법률안의 문제점
비교사법
2021 .05
독점규제법상 징벌적 손해배상제도 도입에 관한 입법방안 검토
경희법학
2017 .01
징벌적 손해배상을 명한 외국판결의 승인과 집행에 관한 소고 - 우리나라에서 징벌적 손해배상 제도를 도입한 이후의 논의를 중심으로 -
상사판례연구
2020 .01
대륙법계 국가에서 징벌배상제의 의의와 정당화 사유
재산법연구
2021 .01
징벌적 손해배상제도의 도입과 개선에 관한 연구
일감법학
2016 .01
현행 징벌적 손해배상제도 개선에 관한 고찰
재산법연구
2020 .01
징벌적 손해배상을 명한 외국판결의 승인·집행에 관한 논의 - 대법원 2022. 3. 11. 선고 2018다231550 판결을 계기로 -
국제사법연구
2023 .06
징벌적 손해배상제도 수용론에 대한 소고
가천법학
2018 .01
손해배상을 명한 외국재판의 승인과 집행 : 2014년 민사소송법 개정과 그에 따른 판례의 변화를 중심으로
국제사법연구
2017 .12
공정거래법상 징벌적 손해배상 제도 도입에 대한 비판적 검토
법과기업연구
2015 .08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