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국문초록
Ⅰ. 서론
Ⅱ. 대상 결정의 소개
Ⅲ. 중재판정 주문의 특정성과 강제집행가능성이 문제되는 국면 및 그에 관계된 법규정 체계에 대한 검토 - 뉴욕협약 제3조를 중심으로
Ⅳ. 중재판정 집행결정절차에서 신청의 (법률상) 이익 내지 권리보호이익을 어떻게 취급할지
Ⅴ. 중재판정 집행결정절차에서 중재판정 주문의 ‘특정성’ 및 ‘강제집행가능성’의 의의
Ⅵ.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대법원 2018. 11. 29. 선고 2016다18753 판결
[1] 집행판결은 외국중재판정에 대하여 집행력을 부여하여 우리나라 법률상 강제집행절차로 나아갈 수 있도록 허용하는 것으로서 변론종결 시를 기준으로 집행력의 유무를 판단하는 재판이다. 중재판정 성립 이후 채무 소멸과 같은 집행법상 청구이의의 사유가 발생하여 중재판정문을 기초로 강제집행절차를 밟아 나가도록 허용하는 것이 우리 법의 기본적 원리에 반한다
자세히 보기서울고등법원 2016. 4. 7. 선고 2015나8423 판결
자세히 보기서울고등법원 2014. 1. 17. 선고 2013나13506 판결
[1] 법원은 중재판정의 승인요건이 구비되면 중재판정에 대해 집행력을 부여하는 임무만을 담당하므로 원칙적으로 중재판정을 보충하거나 변경할 수 없다. 그러나 중재판정의 주문 내용과 범위가 명확하지 않은 경우 법원이 중재판정의 주문과 이유의 해석을 통하여 주문을 명확히 하는 것은 허용된다고 할 것인데 그 경우에도 새로운 증거나 중재대상이 된 본안에 대한 재심리
자세히 보기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중재판정의 효력에 관한 연구
중재연구
2017 .01
중재판정의 기판력의 새로운 구성 - 시지푸스적 접근을 넘어 스노우 화이트적 접근으로 -
인권과 정의
2017 .01
홍콩 법원의 중국 중재판정 승인 및 집행 거부에 관한 사례 연구
현대중국연구
2024 .06
중재판정 집행재판 관련규정의 개정에 관한 검토
저스티스
2015 .12
러시아에 있어서 외국 중재판정의 집행 거부에 관한 연구
무역학회지
2015 .02
Rethinking the Non-enforcement System of Chinese Arbitration Awards
동아법학
2021 .02
외국중재기관이 중국을 중재지로 하여 내린 중재판정에 대한 중국 법원의 국적 결정기준에 관한 연구
중재연구
2023 .06
2016년 개정 중재법의 중재판정 집행에 관한 문제점
중재연구
2016 .01
국제상거래 분쟁 해결을 위한 중재판정의 승인과 집행에 관한 연구
관세학회지
2024 .12
국제중재에서 중재판정의 실현단계에서의 법원의 개입에 대한 비교법적 고찰 -‘공공질서’의 해석 및 취소된 중재판정의 승인을 중심으로
사법
2021 .09
중재판정의 집행결정절차에 관한 검토
사법
2019 .01
중국 내륙과 홍콩 상호간 중재판정의 승인 및 집행에 관한 연구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 Commerce
2016 .12
국제상거래 분쟁 해결을 위한 중재판정의 승인과 집행에 관한 연구
한국관세학회 학술대회
2024 .12
베트남에서 중재판정의 승인과 집행
국제사법연구
2020 .12
외국중재판정의 승인 · 집행에 관한 최근 대법원 판례의 쟁점 검토 : 대법원 2017. 12. 22. 선고 2017다238837 판결을 중심으로
법학연구
2018 .12
공기업 재산에 대한 국제투자중재판정의 집행가능성
중재연구
2019 .01
국제투자중재에서 상사중재판정의 투자적격에 관한 판정례 연구
국제거래와 법
2023 .04
양안(兩岸) 상호간 중재판정의 승인 및 집행에 관한 연구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 Commerce
2017 .04
0